평판 중요한 만큼 요건 낮춰도 난립 가능성 적어
[아시아경제 정재우 기자]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의 안착을 위해서는 자본요건 완화 등 제도개선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자본시장연구원 김종민 연구위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국내 헤지펀드 시장 안착을 위해서는 업계의 자체적인 수익률 제고 노력 외에도 지속적인 제도 개선노력 또한 필수적"이라면서 "헤지펀드 시장에 다양한 투자전략을 구사하는 헤지펀드가 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제도 개선과제"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국내 헤지펀드 시장의 진입요건 중 자본요건을 보다 전향적으로 낮추고 인가과정을 보다 간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직 수요기반이 취약한 국내 사정을 고려하면 평판이 매우 중요한 헤지펀드 시장에서 진입요건을 대폭 낮춘다고 해도 헤지펀드가 난립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보다 큰 틀에서 보면 운용의 자율성 및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체계를 일반 사모펀드나 PEF와 같은 사모펀드 전반의 규제체계 정비 차원에서 면밀하게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울러 "작년 하반기부터 헤지펀드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추세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추세가 올해도 지속된다면 아직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를 주저하고 있는 기관투자자들의 투자가 본격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수익률 개선 추세가 반전돼 수익률이 저하될 경우 향후 몇 년 동안 기관투자자 자금 유치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는 만큼 올해 국내 헤지펀드들의 성과가 헤지펀드 시장의 안착 여부를 좌우할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재우 기자 jjw@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