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가 25일부터 업무에 들어갔다. 사상 최초로 독신 여성이 주인이 된 청와대는 큰 변화가 예고된 상태다. '작은 청와대'를 지향해 조직이 축소됐고, 경호나 보좌ㆍ의전 등의 여러 분야에서 변화가 예상된다.
그러나 최근까지 청와대에 출입했던 기자이자 대한민국의 한 국민으로서 가장 필요하다고 보는 변화는 따로 있다. 바로 언론ㆍ국민과 대통령 사이의 소통을 가로막는 장벽의 철거다.
우선 기자들이 청와대 내부에서 춘추관만 출입하도록 제한하는 현행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현재 청와대 출입 기자들은 춘추관에 고립돼 있다. 청와대 수석ㆍ비서관ㆍ행정관들 만나기는 하늘의 별 따기다. 노무현 정부 중반까지는 그렇지 않았다.
기자들은 자유롭게 청와대 비서진들과 만나 국정 현안ㆍ정책의 배경 설명을 들었다. 이를 통해 '헛발질'을 줄였고, 심층적인 취재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청와대 비서진들도 기자들을 통해 정책ㆍ현안에 대한 사전 검증ㆍ여론 수렴을 할 수 있었다.
노 대통령이 기자들의 비서동 출입을 막은 것은 비서진들의 업무 집중과 보안 유지, 효율적인 국정 홍보를 위한 대언론 창구 단일화 등의 명분이었다. 그러나 투명한 정보 공개ㆍ공평한 취재 기회 제공 등 환경 조성은 더뎠다. 결국 '현실'은 공무원들이 자기 입맛대로 기사거리를 고르는 등 더 악화된 측면이 있다.
두 번째, 기자들에게 질문을 허하라. 이명박 전 대통령은 완벽한 '낭독형'이었다. 각종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입장을 낭독했을 뿐 기자들에게 질문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는 국민들과 대화하지 않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진정성 있는 정책과 진심어린 어조ㆍ눈빛ㆍ제스처를 준비해 기자들과의 대화에 나서야 한다.
세 번째, '홍보 마인드'를 버려라. 국정은 일방적인 홍보만 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권력에 대한 비판ㆍ감시ㆍ견제를 본래 속성으로 갖고 있는 언론의 역할은 그래서 매우 중요하다. 언론의 '합리적인' 비판은 국민들의 애정이라고 생각하고 수용할 줄 알아야 한다.
박 대통령은 당선 후 이제까지 '밀봉ㆍ불통ㆍ깜깜이' 행보를 보여왔다. 5년 후 박수받으면서 자리를 내려오려면 기자들과 만나 얘기하고 토론하는 게 곧 국민을 만나는 것이고 '소통'하는 길임을 깨달아야 한다. 물론 이를 위해 우선 언론ㆍ국민과 친화도가 높은 '입'을 고르는 것이 선결 과제지만, 이미 뒷북인 것 같아 생략한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