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원高, 최악 '원苦'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엔화는 31개월새 최저 기록했는데…원화값은 18개월 만에 최고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지난달 원화가치가 월 평균치 기준으로 18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일본 엔화의 가치는 31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달러에 대한 엔화 가치의 최근 한달간 하락폭은 세계 141개국 가운데 가장 컸다. 일본 아베 정권의 양적 완화로 엔화가치가 급속히 떨어졌기 때문이다.

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ㆍ달러 환율은 오전 10시 5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0.10원 오른 1087.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원ㆍ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2.0원 내린 1085.0원에 개장한 뒤 소폭 상승하면서 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지난달 원ㆍ달러 평균환율은 달러당 1066.54원으로 지난 2011년 7월(1058.49원) 이후 18개월 만에 최저치 수준을 보였다. 이 수치가 1070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0년 7월을 제외하고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 8월(1047.11원) 이후 54개월 만이다. 원ㆍ달러 평균환율은 지난해 6월(1163.61원) 이후 7개월 연속 하락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수출기업들이 적자를 보는 원ㆍ달러 환율 마지노선은 1086.20원이다. 평균환율로는 이미 작년 12월부터 환율 마지노선이 붕괴된 셈이다.


반면 지난달 달러당 엔화의 평균환율은 89.03엔으로 2010년 6월의 90.91엔 이후 3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일본의 아베정권이 양적완화 정책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한 지난해 9월(78.19엔) 이후 4개월 만에 엔ㆍ달러 환율은 13.9%나 상승했다.


달러당 엔화 환율은 이달 5일 현재 93.54엔으로 작년 말 이후 한 달여 간 7% 가까이 상승했다. 전 세계 141개국이 사용하는 125개 통화 중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는 원화 상승 폭(1.3%)의 5배였다. 대만달러(1.8%), 싱가포르달러(1.4%), 말레이시아 링깃(1.2%), 인도네시아 루피아(0.3%), 홍콩달러(0.1%) 등 주요 아시아 국가의 상승 폭과도 큰 차이를 보였다.


국내 수출에서 1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유로존의 유로화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약세를 보였다. 지난달 독일, 프랑스 등 유로존 17개국이 사용하는 유로화 평균환율이 1.3287유로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은 절상 압력을 계속 용인해 지난달 위안화 평균환율이 6.2221위안으로 사상 최저치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이처럼 심각한 원고와 엔저 현상은 국내 수출기업들에 직격탄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장 국내 기업들의 올해 1분기 실적은 상당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수출중소기업 300개사 가운데 93%가 "지난달 원ㆍ달러 환율 하락으로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지난해 11월 같은 조사 때 '피해가 있다'(53.1%)는 응답보다 40%포인트 가까이 높아졌다.


환율 악재가 수출전선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달 전인 지난해 12월 7.5%와 비교해 상승세가 확연히 꺾였다.


조강욱 기자 jomarok@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조강욱 기자 jomarok@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