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환경단체, 환경재앙 불러온다 반발
[아시아경제 김영빈 기자] 정부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석탄을 원료로 사용하는 영흥화력 7·8호기 증설 계획뿐 아니라 해양생태계 파괴 논란으로 보류된 인천만·강화조력까지 포함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인천지역사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4일 인천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그동안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성 문제로 추진에 제동이 걸렸던 인천만·강화조력발전소가 이번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인천지역의 인천만조력(1320㎿)과 강화조력(420㎿)을 비롯해 가로림만조력(520㎿), 아산만조력(520㎿) 등도 계획에 담았다.
인천만조력은 한국수력원자력(GS건설)이, 강화조력은 중부발전(대우건설)이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갯벌 매립에 따른 해양생태계 파괴 우려로 지난해 시도했던 매립기본계획 반영이 인천시와 국방부, 환경부, 문화재청, 농림수산식품부 등의 반대로 무산됐다.
하지만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을 11.4%에서 2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 아래 대규모 조력발전소 건설을 다시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넣었다.
이러한 계획이 추진되면 인천은 영흥화력 7·8호기 증설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과 조력발전으로 인한 해양환경 파괴 등 대기·해양 부문에서 치명적인 환경 문제에 직면할 전망이다.
남동발전 영흥화력의 경우 지난 2003년 1·2호기(발전용량 각 800㎿)에 이어 2008년 3·4호기(각 870㎿)기 가동 중이고 5·6호기(각 870㎿)는 2014년 준공 예정으로 건설 중이다.
영흥화력은 현재 인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총량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5·6호기가 가동하는 2014년에는 55.4%, 7·8호기(각 870㎿)가 가동에 들어가는 2018년에는 62.2%까지 올라갈 것으로 추정된다.
인천시와 환경단체들은 지구 온난화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UN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송도에 유치한 상황에서 기후변화의 주범 중 하나로 꼽히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증설하는 것은 인천의 녹색환경수도 비전에 재를 뿌리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4년부터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5000억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도 대기환경 개선은 미미한 가운데 석탄화력 증설은 그동안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고 ‘공해도시 인천’을 고착화할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9년 영흥화력 5·6호기 증설 과정에서 이후 추가로 들어서는 발전기는 청정연료를 사용한다는 조건으로 환경부 동의를 받았으나 전력난을 내세워 이조차 무시하고 있다.
한편 지난 1일 환경단체의 시위로 무산됐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공청회는 오는 7일 다시 열릴 예정이다.
이혜경 인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이산화탄소 등 공해물질을 내뿜는 석탄화력과 해양생태계를 짓밟는 조력발전이 그대로 추진된다면 정부의 전력수급 정책으로 인한 최대 피해지는 인천이 될 것”이라며 “환경재앙을 막으려면 석탄화력과 조력발전에 대한 정부의 인식 전환과 인천시의 적극적 대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영빈 기자 jalbin2@
김영빈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