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벼랑 끝 서민의 안타까운 죽음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가난에 쫓기다 삶의 벼랑 끝에서 스스로 뛰어내리거나 떠밀려 떨어지는 이들의 소식이 부쩍 많이 들려온다. 겨울의 길목에서 그렇게 쓸쓸히 생을 마감한 이들의 이야기는 우리 모두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최근 한 달 사이에도 언론에 그런 보도가 줄을 이었다.


경기도 파주에서는 맞벌이 부모가 일하러 나간 사이 집에 불이 나자 13살 누나가 뇌성마비 1급 장애인인 11살 동생을 구하려다 질식해 숨졌다. 인천에서는 40대 딸이 병든 70대 어머니와 함께 방 안에 번개탄을 피워놓고 자살했다. 7개월째 월세도 내지 못하고 생활고에 시달렸다고 한다. 경기도 포천에서는 70대 할아버지가 선천성 뇌성마비를 앓는 10대 외손자와 함께 자살했다. 딸 부부의 짐을 덜어주려고 그런 극단적인 선택을 했을 것이라고 주위 사람들은 말한다.

서울에서는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던 80대 할머니와 40대 딸이 끌어안은 채 한강에서 뛰어내렸다. 부산에서는 10년 이상 동네빵집(제과점)을 운영하던 40대 남자가 집에서 목을 매 숨졌다. 대형 체인점에 밀려 장사가 잘 안돼 생활이 어려워지면서 빚이 늘어났다고 한다. 충북 제천에서도 50대 어머니와 30대 두 딸이 승용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아파트를 정리해도 빚을 갚기 어려운 처지였다고 한다. 전남 고흥에서는 50대 할머니와 6살 손자가 화재로 사망했다. 밀린 전기요금을 내지 못해 전기공급 제한조치를 당해서 촛불을 켜놓고 자다 변을 당했다. 그 뒤 한전은 전기요금 체납가구에 대한 전기공급 제한을 당분간 폐지하겠다고 발표했다.


하나하나가 안타깝기 이를 데 없는 죽음이다. 보편적 복지니 선별적 복지니 하고 다퉈온 복지논쟁이 부질없게 느껴진다. 겉으로 자살이거나 사고사이더라도 사회적 타살의 요소가 다분한 죽음들이다. 나라의 경제규모 세계 12위, 무역규모 세계 8위라고 한들 가난과 질병, 빚에 시달리다 죽음에 이르는 국민이 이렇게 많아서야 무슨 큰 의미가 있겠는가. 추운 겨울, 우리 모두 어려운 이웃을 한번 더 생각하자.

정부와 정치권은 거창한 복지정책을 내세우기에 앞서 복지 사각지대부터 없애야 한다. 사회의 관심과 국가의 보살핌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외면해서는 안된다. 복지전달체계를 훨씬 더 촘촘하게 짜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