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안철수 TV토론, 트위터·페이스북 반응 살펴보니…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의 단일화 토론을 지켜 본 네티즌들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저마다의 소감을 남기고 있다. 두 후보의 대권 공약 하나하나에 대한 비교는 물론 말투나 시선처리, 제스처 하나에도 예리한 평가가 쏟아졌다.
22일 새벽 두 후보의 TV 토론이 끝난 직후 양쪽 모두를 지지하는 네티즌 사이에는 "막말과 인신공격이 없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품격 높은 정치 토론"이라는 평가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트위터리안 @tak05**는 "토론은 싸우는 맛으로 보던 시청자들이 패널들이 싸울까봐 마음 졸이며 보는 아주 놀라운 토론회"라고 평했고, @scull**는 "이것이 진보의 토론. 쌈질 안해도 이렇게 의견 교환이 가능한데…"라고 말했다.
@jazzi**는 "문재인 후보님으로부턴 신뢰를, 안철수 후보님으로부턴 미래를 본 토론이었다. 두 분 모두 훌륭한 정치인이 될 자격을 검증받았으니 이제 정치 개혁을 이루시길 바랍니다"라고 기대감을 내비쳤고,
@unhei**는 "한 마디로,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고품격 토론이었다는 게 이번 토론의 성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 트위터 이용자(@progf**)는 "토론에서 보는 이전 정치인과의 차이. 동문서답 안한다, 구체적인 답을 한다, 약점을 물어 뜯는 게 아니라 생각을 묻는다, 자기주장만 안한다. 우리에게 미래가 없는 게 아닌 듯. 분명한 변화가 느껴지니까"라는 소감을 남겼다.
두 후보 가운데 어느 한 쪽을 지지하는 네티즌들의 경우 그 이유가 분명했다.
네티즌 박성*씨는 페이스북에 "정책에 대한 이해와 국정 운영에 대한 이해가 높은 문재인 후보가 돋보인 토론회"라 진단했고, 아이디 @sooye**는 "단일화 후보를 검증하는 '정치적 자리'라는 본래 취지를 고려할 때 '인간적인' 발언에 무게를 둔 안철수 후보보단 '정치적인' 발언에 무게를 둔 문재인 후보에게 손을 들어주고 싶다"고 말했다.
네티즌 Yujeo**은 "문재인 후보님의 정치쇄신에 대한 의지도 높이 사지만 오늘 토론의 내용에 대해서는 안철수 후보님에게 더 후한 점수를 주고 싶다"며 "특히 경제민주화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말과 이 시대의 금융자본에 대한 내용이 절실히 와 닿았다"고 설명했다.
박응* 씨는 "너와 나의 입장만 내세우는 것이 아닌 우리를 중심에 두고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이 시대의 산적한 갈등과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기본적인 출발점"이라며 "안후보가 사용한 단어에서 '공동체'가 등장해서 너무 기뻐 혼자서 박수를 쳤다"고 말했다.
반면 두 후보의 단일화에 반대하는 네티즌들은 이날 토론회를 폄하하기도 했다.
온라인에는 "왜 안철수와 문재인은 단일화 토론에 나와서 어떻게 할지 회의를 하고 있나요? 여기가 협상테이블인가요?(@macho**)", "안철수랑 문재인은 연기하나? 지치셨나? 중학교 토론회 수준(@naraj**)", "토론하라니깐 서로 칭찬만 한다. 어떻게든 서로 심기 안건드리고 서로 칭찬하려고ㅋㅋ(@julka**)" 등의 멘션이 올라오고 있다.
다음 주 이뤄질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단독 토론회를 향해 조소를 보내는 이도 있었다.
트위터리안 @BeatW**는 "자 이제, 혼자서 묻고 답하는 사상 초유의 시스템을 적용한 신개념 토론을 볼 차례인가?"라고 비꼬았고, 아이디 @deviu**는 "오늘 TV토론을 보고 나니, 26일로 예정된 여당후보의 '토론회'는 한 편의 호러쇼가 될거 같단 느낌이 든다. '토론'이란 명목 아래 펼쳐지는 후보 1인의 일방적인 자기소개, 그리고 자리만 채우고 앉아있을 '패널'이라 명명될 배경인들, 끔찍하다"라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오늘 토론회가 당초 예정보다 한 시간 늦게 진행된데 대한 의구심도 제기됐다.
@lsh4u**는 "단일화 토론시각 왜 오락가락? 결국 심야시간으로 밀려.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는 황금시간대에 하면서… 방송사 쥐고 흔드는 보이지 않는 손 누군가?"라고 반문했고, @Ex_ar**는 "국가의 중대사인 대선 후보들의 토론을 이렇게 늦은 시간에 하는데 대해 새누리당이 한마디 해야 하지 않나요? 국민들의 수면권 침해 아닌가요? 이로 인해 손실되는 사회적 비용은 어떻게 하죠?"라고 되물었다.
조인경 기자 ikj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