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금융연구원 가계부채 미시분석 결과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하우스푸어'가 57만가구로 분석됐다. 이들이 갚아야 하는 대출 규모는 150조원에 달한다.
금융위원회는 30일 금융연구원과 함께 '가계부채의 미시구조 분석 및 해법'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임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발표를 통해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상환비율(DSRㆍDebt Service Ratio)이 60%를 넘는 '잠재적 위험가구'가 현재 56만9000가구이며 이들의 금융권 대출이 149조5000억원"이라고 밝혔다.
DSR은 원리금 상환액을 경상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잠재적 위험가구는 소득의60% 이상을 빚 갚는 데 써야 해 하우스푸어로 볼 수 있다.
하우스푸어가 많은 계층은 연령별로는 40~50대가 35만2000가구에 달하며 60세 이상은 11만8000가구를 기록해 나이가 들수록 하우스푸어 비중이 높아지는 것을 짐작케 했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가 26만1000가구,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자가 33만9000가구로 가장 많았다.
집값 하락과 함께 금융자산을 모두 팔아도 대출금을 못 갚는 '고위험가구'는 최대 10만1000가구, 대출금은 47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임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하우스푸어의 전형적인 형태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집값 하락이나 금리 상승을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집값이 20% 내리면 고위험가구가 10만1000가구에서 14만7000가구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SR 40% 이상을 감안할 때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고위험가구는 최대 7400가구 늘어난다.
집값 20% 하락으로 금융권이 안게 되는 손실은 16조6000억원으로 분석됐다. 이 경우 은행 보다 제2금융권에서 도산하는 곳이 나올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취약점으로 꼽히는 다중채무자(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사람)는 316만명, 이들의 대출금은 279조원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 36만2천명(11.5%)은 만기 이후 한달 이상 원리금을 갚지 못한 연체자다.
다중채무자 중 연소득이 1000만~2000만원인 저소득층의 연체자 비중은 2010년 11.4%에서 지난해 15.7%, 올해는 6월 말 현재 17.4%에 달했다.
소득 1000만원 이하 다중채무자의 연체 비중도 이 기간 11.4%에서 17.2%로 커졌다.
경기에 민감한 자영업자의 부채규모는 약 350조원으로 추정됐다. 이들은 연령이 많을수록 DSR, LTI, 연체율 등 가계부채 관련 지표가 모두 나쁘게 나타났다.
특히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 대출 비중이 44%에 달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