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 경제의 맏형 '엉클샘' 일어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1초

미국 주택 시장 호조···“거래, 신축 모두 늘어”


미국의 지난달 기존주택건수가 크게 늘어나 2년 3개월래 최고 수준을 보였다. 신규주택건설 건수도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미국 주택 시장 회복세가 궤도에 올랐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미중개인협회(NAR)는 19일(현지시간) 8월중 미국의 기존주택 판매건수가 7월에 비해 7.8%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연율로 환산한 거래는 482만건으로 7월에 기록했던 447만건 및 시장 예상치 455만건을 크게 뛰어넘었다.


주택 판매 가격도 상승세를 보였다. 8월중 기존주택 평균 판매가격은 18만4000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9.5% 올랐다.

주택건설 착공 건수도 한 달 전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났다. 미 상무부는 이날 8월 주택착공실적이 75만건(연률)으로, 7월에 비해 2.3%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 75만6000건에 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29.1% 높아진 수준이다.


주택 건설 건수 착공이 늘어남에 따라 전문가들은 신규주택 건설이 2005년 이래 처음으로 미국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올해 들어 미국의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고용 시장에서 고전중인 와중에 부동산 시장이 경제위기 이후 가장 두드러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하이프리퀀시 이코노믹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짐 오설리반은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 몇년간 추가로 개선될 여력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미국 주택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원인으로는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낮은 금리, 부동한 가격 하락, 완만한 속도이긴 하지만 안정적인 고용시장 회복세 등이 꼽히고 있다.


더욱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서 지난주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이겠다고 밝힘에 따라 이자율과 신규 및 리파이낸싱 모기지 금리도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주택 경기 회복세는 지속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美 가계빚 줄고 ··· GDP 대비 85%선으로


미국의 가계부채가 크게 줄면서 내년 소비경기가 살아나 미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 경기침체의 원인은 미국인들이 부채를 너무 많이 늘린 상황에서 가계 자산 중 차지하는 비중이 큰 주택 가격은 하락했기 때문이다. 부채의 덫에 사로잡힌 미국인들은 어쩔 수 없이 부채를 갚는 데 주력해야 했다. 이로써 민간 소비가 위축돼 미 경제의 추락으로 이어진 것이다.


그러나 금융위기 당시 국내총생산(GDP) 수준을 크게 웃돈 미 가계부채 규모는 현재 GDP 대비 85%로 줄었다. 신용평가업체 무디스는 미 가계부채가 내년에 GDP 대비 75%까지 하락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08년 사상 최고인 13조8000억달러를 기록한 미 가계부채는 현재 11조3800억달러(약 1경2728조원)로 줄었다. 2008년보다 17.5% 감소한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미 정부 부채는 10조달러에서 16조달러로 급증했다. 최근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100%를 넘어섰다.


미 정부가 무리하게 빚까지 늘리면서 다양한 경기부양책을 쏟아낸 것은 미 경제의 근간인 민간 소비를 살리기 위함이었다. 시장관계자들은 정부 노력이 결실을 맺어 내년 미 소비가 살아나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스콧 호이트 애널리스트는 "감소한 소비자 부채와 주택 가격 상승, 고용시장 개선으로 소비지출 증가율이 내년 말 3.5%까지 늘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는 올해 2ㆍ4분기 증가율의 두 배에 이르는 것이다.


리전스 파이낸셜 은행의 리처드 무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내년에 상황이 나아지기 시작할 것"이라며 "주택시장 상황이 개선되고 주정부와 지방정부의 지출 둔화 속도는 완만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미 경제성장률이 2.7%로 높아져 올해 초처럼 다달이 20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


소비 증가-경제 성장-일자리 증가-소비 증가라는 선순환 구도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각종 설문조사 결과 미 소매업계는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서도 올 연말 소비경기가 지난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
박병희 기자 nut@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