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대학과 기업간 연계한 산학협력 사업이 총체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전히 대부분의 수입을 국고보조금에 의존하고 있으며 관련법에 따라 마련된 학교기업 역시 운영성과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감사원이 공개한 교육분야 산학협력 추진실태 공개문을 보면 2010년 기준 전국 산학협력단 148곳의 평균수입은 318억52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이 지원하는 각종 지원금이 240억2800만원으로 전체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했다.
대학이 보유한 특허 등 지적재산권을 활용한 수입은 2억1000만원으로 0.7%, 시설ㆍ장비 사용료 명목으로 벌어들인 수입은 1억1억3400만원으로 0.4%에 불과했다. 대학이 가진 지식이나 장비를 통해 적극적인 산학협력 수입창출은 거의 없었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관련법에 따라 운영중인 학교기업의 실적도 저조했다. 학교기업은 산학협력 활동의 일환으로 학생이나 교원이 현장실습이나 연구를 하거나 개발된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대학 등 교육기관이 운영하는 곳이다.
지난해 기준 전국에 있는 학교기업 227곳의 매출은 737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100억원 이상 늘고 현장실습 인원도 3만4904명으로 역대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전체 학교기업의 당기순이익을 따져보면 2006년 이후 5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당기순이익도 50억원 수준에 불과했다.
일부 대학은 학교기업의 설립취지에 맞지 않게 골프장을 설치하거나 제한된 금액을 초과해 관련설비를 지은 일이 이번 감사 결과 적발되기도 했다.
감사원은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개발된 대학특허가 사업화나 기업 등으로 기술이전 되지 못하고 사장되거나 재정지원 사업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됐다"며 "산업체의 수요와 미래의 산업발전에 부응하는 인력양성이 미흡해 인력수급 불일치가 여전한 등 아직 성과가 미흡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