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軍자살사고 예방하려면 맞춤형 종합시스템을 도입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軍자살사고 예방하려면 맞춤형 종합시스템을 도입해야
AD

우성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2012년 7월 7일 오후 1시 13분께 강원 태백시 황지동 J아파트 13층에서 모 부대소속 이모(21) 이병이 떨어져 숨졌다. 입대 후 첫 휴가를 나온 이 이병은 이날 복귀 날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유가족은 ‘군 생활에 적응을 못 해 힘들어했다’고 말했다.”


얼마 전 또 다시 날아든 한 군인의 자살에 대한 보도 내용이다. 우리나라 자살사망률은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10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만5566명, 1일 평균 42.6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 증가폭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자살 원인 중 하나로 우울증이 지목되는 가운데 우울증 환자도 2003년 이후 33%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군인의 자살사고는 2004년 67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82명으로 늘었다. 지난 7년간 평균 75명 정도가 자살로 사망한 것이다.
최근 국회보건복지위원회에서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군내 사망사고 현황에 따르면, 3일마다 한 명의 군인이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의 시급성을 알리고 있다.

특히 자살 예방 대책에도 불구하고 자살을 택하는 군인의 숫자가 오히려 늘고 있어 국회보건복지위원회는 “군 내 자살자 수가 80명 안팎에 머무는 것은 자살 예방 대책에 문제가 있다는 반증”이라며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또한 국민권익위원회와 국방대학교 공동 주최로 권익위에서 열린 ‘군 자살사고 예방제도 개선방안’ 등을 통해 군대 내 자살을 예방할 대책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른 대책마련의 일환으로 군 당국이 현역복무 부적합자를 가려낼 정보를 사전에 획득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병무청이 국민건강보험공단, 교육과학기술부, 법무부 등으로부터 징병검사 대상자의 진료기록, 학교생활 내역, 전과기록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병역법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상담 특기병 제도 도입과 상담 전문장교제도 도입, 군 복무 부적합자 통합관리기관 신설 등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은 서로 다른 부처간 이견으로 갈등의 골만 깊어가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는 조금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국방부 입장에선 현행 징병검사에서 입대 때 실시하는 ‘인성검사’를 통해 부적합자를 골라내거나 훈련소에서라도 선별 가능한 방법이 최선이라 여기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신적 질환이 평상시에 그 양상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물론 군인의 자살 원인에는 여러 다른 원인도 존재하겠지만, 우울 증세는 자신이 미처 느끼지 못하는 아주 미세한 증상부터 심각한 증상까지 개인별로 다양한 증세를 보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배경의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살던 낯선 이들과의 공동생활은 평소 자신에겐 없었다고 여겼던 많은 감정의 기복들을 겪을 수 있는 확률이 높은 장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군인들에게 실시되고 있는 ‘인성검사’와 ‘우울증 측정검사’ 등은 일반인들에게 실시되는 검사들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의료기관 및 심리학회 등에 공인된 몇 가지 심리검사 도구에만 의존돼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즉 군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심리 측정 검사가 개발돼야 하고, 몇 가지 심리 테스트로만 국한되지 않은 오픈된 종합적 측정 검사의 연구개발이 시급하다. 예를 들면 50분 동안 몇 백 문항의 텍스트로 조합된 ‘MMPI’나 ‘Beck’ 우울증 검사보다 자신의 무의식에 내재된 감성을 점검할 수 있는 우리나라 군 환경 맞춤형 감성측정 검사가 전문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코노믹 리뷰 이효정 기자 hy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