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보다 더 무서운 '정책자금', 서글픈 중소기업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아시아경제 노승환 기자]인천 부평에서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강모 사장(49)은 이제 '정책자금'이란 말만 들어도 치가 떨린다. 4년 전 정부출연기관에서 빌린 2억5000만원 때문에 회사는 문을 닫을 지경이 됐다.


발단은 지난해였다.경기악화로 주문이 반토막나면서 석 달 마다인 상환기일을 못 맞췄다. 기일연장은 딱 두 번 뿐이었다. 주거래 은행장이 "그동안에도 연체 없이 꼬박꼬박 갚지 않았습니까. 좀 봐주세요"라며 직접 기관에게 사정까지 했지만 소용없었다.

지난 4월 회사에 압류딱지가 붙었다. 은행대출도 '원천봉쇄'됐다. 여기저기 사정해 남은 대출금 8500만원은 갚았지만 돈줄이 막혀버렸으니 앞으로 대책이 없다. 불과 3년 전 유망중소기업에 선정돼 직원들과 맥주잔 기울이던 때가 아득하게 느껴졌다.


인천 중구에서 음향설비 업체를 꾸리는 정모 사장(39)은 얼마 전 은행 창구에서 한 바탕 실랑이를 벌였다. 2년 간 미루고 미룬 장비교체를 위해 2천 만원을 빌리러 들른 길이었다. 정 사장은 신문을 보고 두 달 전 연대보증이 없어진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그 게 아니었다. 은행 직원이 추가 담보를 요구했다. 정 사장은 따져 물었지만 돌아온 대답은 똑 같았다.

당장 장비를 못 바꾸면 회사는 벼랑 끝이었다. 이미 속썩이는 장비 때문에 놓친 주문이 한 둘이 아니었다. 친인척들에게는 워낙 손을 벌려왔던 터라 더 말을 꺼내기가 죄스럽다. 은행에서 나오는데 전봇대에 붙은 사금융 광고가 눈에 들었다. 정 사장은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렸다. '이자율 23%', 손이 떨렸다.


정부가 이런 저런 중소기업 대책을 쏟아내지만 피부로 와닿지 않기는 인천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특히 정부의 '정책자금'은 많은 기업에게 '그림의 떡'일 뿐이다. 상환기일 연장은 오히려 시중은행보다 더 엄격하다. '에누리'없는 상환독촉에 기업들은 숨이 턱턱 막힌다.


인천 중소기업들의 자금난은 지난해부터 바닥을 향해 달리고 있다.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최근 인천의 243개 업체를 상대로 2/4분기 자금조달사정 BSI 지수를 조사했더니 지난해 2/4분기부터 5분기 연속 하락세였다.이 지수가 100 이하이면 자금조달사정이 좋아졌다는 업체보다 나빠졌다는 쪽이 많다는 뜻이다. 1년 사이에 이 지수가 92에서 74로 떨어졌다. 3분기에 대한 전망 BSI 도 78로 낮게 응답됐다. 이 지수가 70 대로 떨어진 건 최근 2년 사이에 처음이다.


김영무 인천 유망중소기업협의회장은 "정부나 지자체나 중소기업을 돕겠다고 하는데 정작 당사자들이 이를 못 느낀다면 뭔가 문제가 심각한 것 아니냐"이라며 "지원정책이 거꾸로 중소기업을 옥죄는 상황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승환 기자 todif77@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