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법 조문 하나에 통째로 사라진 캠퍼스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인하대 송도캠퍼스 원점에서 재검토

[아시아경제 노승환 기자]인하대학교의 숙원사업인 인천 송도 신 캠퍼스 조성사업이 추진 6년 만에 원점에서 다시 시작되게 됐다.


생산공장 주변에 학교시설이 들어설 수 없다는 법 조항이 뒤늦게 6000억원 규모 사업의 발목을 잡았다.
4일 인하대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하 인천경제청)에 확인한 결과 당초 예정된 22만5000여㎡ 부지에서의 캠퍼스 조성사업이 사실상 전면 중단된 상태다.

두 기관은 새 사업부지를 찾고 있다. 발단은 기존 예정지 인근에 미국 엠코테크놀로지의 생산공장 설립이 계획되면서부터다.


관련법 상 대학을 포함한 학교에서 일정 거리 안에는 공장을 세울 수 없다는 조항이 문제가 된 것이다. 이를 뒤늦게 확인한 인천경제청이 지난 3월 10억 달러가 투자될 공장설립을 포기하지 않는 대신 인하대에 캠퍼스를 다른 곳에 만들자고 제안한 것이다. 양 측은 수 차례 협의 끝에 결국 예정부지를 옮기는데 최근 잠정 합의했다.

문제는 시간과 자금이다. 인천경제청이 새 후보지로 제안한 곳은 아직 매립도 안 끝난 갯벌이다. 매립은 2014년 말에야 끝나고 3년이 더 지난 2017년에야 첫 삽을 뜰 수 있다. 캠퍼스 개교시점이 당초 2014년에서 2020년으로 6년 이상 늦어진다.


2006년 이후 지금까지 투입된 사업비도 상당 부분 손실로 남게 된다. 땅을 옮길 경우 이미 세워진 건축계획과 기본설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


2014년 개교를 전제로 추진돼온 해외 대학ㆍ연구소 유치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입주가 미뤄질 경우 대학ㆍ연구소들이 송도 대신 다른 지역을 택할 수 있고 입주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 2009년 인하대가 유치한 '유타DDS'연구소의 경우 2014년 송도캠퍼스 입주가 무산되면 인하대가 직ㆍ간접적 책임을 져야 한다.


인하대 관계자는 "불가피한 상황이라 일단 부지이전에 대해 원칙적으론 동의했다. 하지만 몇 년 동안 준비한 사업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다보니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인하대가 그동안 추진해온 유치작업에는 최대한 차질이 없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노승환 기자 todif77@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