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다문화 학생도 똑같은 우리 아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다문화 학생이 정규 학교 배치 전에 적응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예비 학교가 현재 3개에서 26개로 확대된다. '한국어 교육과정(KSL)'도 초ㆍ중ㆍ고 정규 과목으로 신설된다. 다문화 직업교육 대안학교인 다솜학교도 늘어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어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다문화 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을 내놨다. 다문화 학생을 보듬어 안기 위한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국내 초ㆍ중ㆍ고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은 지난해 말 기준 3만8678명에 이른다. 전체 학생의 0.55%다. 절대 수치는 아직 적은 편이다. 하지만 증가 추이는 가파르다. 최근 수년간 매년 6000명씩 늘어나고 있다. 다문화 학생 비율은 2007년 0.19%에서 5년 사이 2.9배가 늘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14년에는 1%를 넘어설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교육 환경은 부실하다. 다문화 학생들이 다른 외모,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정서적 갈등과 정체성의 혼란을 겪을 때 도움의 손길이 부족하다. 오히려 냉대와 차별로 학습 의욕을 잃고 학교 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점에서 그들을 편견 없는 교육을 통해 공동체의 일원으로 키워 가겠다는 정부의 정책 방향은 긍정적이다.


관건은 현장에서의 실천이다. 올해 초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이 '자살하고 싶다'고 해서 사회적 파문이 인 적이 있다.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왕따가 되고 또래의 발길질을 견디지 못해 세상을 비관한 것이다. 문제는 그 학교가 정부의 지원을 받는 다문화 가정 교육을 위한 거점학교였다는 사실이다. 제도도 중요하지만 현실의 교육 현장이 더 중요하다는 걸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다문화 가정은 이제 한국 사회의 한 축이나 다름없다. 그 가정의 아이들은 우리의 소중한 자산이다. 그들을 나라의 인재로 키워 가려면 시혜적 차원에서 접근할 게 아니라 차별을 느끼지 않고 동등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게 더 중요하다.


다문화 학생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지만 동료 학생들에게 다문화 가정의 아이도 자신과 똑같은 아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함께 가도록 하는 인성교육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정부에만 맡길 게 아니라 가정과 학교, 사회 모두가 함께 나서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