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6개 시·도에 '물가잡는 팀' 만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정부가 개인서비스 물가를 잡기 위해 16개 시·도에 물가관리 전담조직을 두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조만간 각 지방자치단체에 관련 지침을 내릴 계획이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오전 정부 세종로 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 장관회의를 통해 "4월 총선 전후로 나타날 수 있는 개인서비스 요금의 편법 인상 등 물가 불안요인에 대해 철저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정부는 우선 현재 경기도에만 있는 물가전담 부서를 16개 시·도에 모두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물가에 큰 영향을 주는 개인 서비스 가격을 좀 더 촘촘히 관리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매월 지방자치단체의 물가 안정 실적을 점검한 뒤 우수한 지역에는 각 부처의 공모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특별교부금도 더 많이 지원한다.


박 장관은 "개인서비스 요금은 가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서민체감 물가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품목"이라며 "선거를 전후해 편법 인상 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어 "외식물가는 500원, 1000원처럼 계단식으로 올라 가격 설정방식이 물가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며 "삼겹살처럼 수급이 안정돼도 가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물가 안정에 협조하는 '착한가게'에도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찾기로 했다. 현재는 착한가게로 인증되면, 대출시 금리 우대나 소상공인 정착금 지원, 보증수수료 감면 등의 혜택을 받는다.


정부는 이외에도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주요 수입품목의 가격을 비교해 물가를 낮추기로 했다. 또 농축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이달 말부터 농축산물 직거래 장터를 23개 더 운영하기로 했다.




지연진 기자 gy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