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중 1명 "가능성 높아"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최근 외교통상부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우리 국민 3명 가운데 1명은 '핵ㆍ방사능 테러나 원자력시설에 대한 공격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
미국 정부가 2010년 발표한 보고서에도 미국이 당면한 가장 큰 위협으로 '테러리스트들에 의한 핵무기 공격'이 꼽혔다. 미션임파서블ㆍ피스메이커와 같은 헐리우드 인기영화가 더 이상 가상의 일만은 아니라는 인식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고농축우라늄(HEU) 25㎏ 정도 또는 플루토늄(Pu) 8㎏으로 가장 기본적인 핵무기나 핵폭발장치를 만들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에는 약 1600t의 고농축우라늄과 약 500t의 플루토늄이 있다. 핵무기 12만6500여개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문제는 정교한 핵무기를 만드는 건 어렵지만 핵물질을 사용해 초기 수준의 핵무기를 만드는 건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핵물질 거래는 엄격한 통제 아래 이뤄지지만 모든 재화가 그렇듯 어둠의 경로가 있다. 국제원자력기구가 관리하는 불법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금까지 해마다 약 200여건의 핵ㆍ방사능물질 도난ㆍ분실ㆍ불법거래가 각국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 가운데 바로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고농축우라늄ㆍ플루토늄 관련 사례도 33건으로 기록됐고 이 중에서도 60%는 회수되지 않았다.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 러시아가 1990년대 국가 전체적으로 경제난을 겪을 당시 "과학자들이 핵물질을 빼돌린다"는 얘기도 공공연히 나돌기도 했다.
핵안보를 둘러싸고 전 세계 각국 정상들이 한데 모이는 건 이같은 위협을 특정 국가가 제어하는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냉전시대처럼 국가 대 국가가 만나 군사력 감축을 약속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뜻이다.
핵안보정상회의 이전까지 미국과 러시아, G8(주요 8개국) 정도 선에서 논의되는 데 그쳤지만 이제는 전 세계가 현실적인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걸 방증한다. 특히 한국과 같이 대외의존도가 높은 나라 또는 개방ㆍ통상국가는 위험도가 더 높을 수밖에 없다.
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일반적으로 핵테러나 핵안보를 미국이나 일부 서방국가 또는 정세가 불안정한 곳의 관심사로만 보는 경향이 있다"면서 "세계화 시대에 핵테러 안전지대는 없으며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더라도 피해는 한국을 포함한 전 지구에 미친다"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