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농사 짓는다고 가난한 줄 알았다간 큰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5초

"농사 짓는다고 가난한 줄 알았다간 큰일" ▲ 유기농 채소를 재배·유통 시켜 연간 13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충주 장안농장의 류근모 대표. 220여명의 직원을 채용해 농촌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전국 100여개 농장과 협력 체계를 구축, 국내 유기농업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지난해 1억원 이상의 소득을 올린 농업인이 1만6700명에 이르며, 이 중 절반 가량이 경북 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서규용)는 지난해 전국 농업경영체의 소득현황을 조사한 결과, 1억원 이상 고소득 농업경영체가 1만6722명에 이른다고 8일 밝혔다. 이는 2009년 조사(1만4641명)보다 14%(2081명) 증가한 수치다.


개인의 경우 2009년 대비 14% 증가한 1만5959명으로 조사됐고, 농업법인은 18% 증가한 763개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이 7499명(44.8%)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의 절반 가까이가 몰려 있었다. 다음으로 전남 2753명(16.5%), 전북 1568명(9.4%) 순이었다. 특히 전남은 2009년 대비 148%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분야별로는 축산이 7844명(46%)으로 가장 많았고, 과수 2817명(16.8%), 채소 2087명(12.4%), 벼 1663명(9.9%) 순으로 나타났다. 벼 품목의 경우 2009년 대비 41%가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8220명(49.1%), 40대 3785명(22.7%)으로 40~50대가 전체의 72%를 차지했다.


소득구간별로 1억~1억5000만원 구간의 경영체가 9885명으로 전체의 59%를 차지했고, 10억원 이상 경영체도 164명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는 억대 농업경영체의 증가 요인으로 축산시설 개선 지원으로 인한 규모화 및 생산성 향상,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농업 기반 확대 지원 등을 대표적 원인으로 꼽았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