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한국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에서 1월 무역수지가 20억달러에 육박하는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다. 월간 무역적자는 2010년 1월 이후 24개월 만이다. 우리 경제를 돌리는 엔진인 수출이 연초부터 마이너스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 미칠 심리적 영향 차단이 시급해 보인다.
1월 무역적자는 안팎 요인이 겹쳤다. 안으로는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가, 밖으로는 유럽 재정위기와 중국의 성장 둔화가 영향을 미쳤다. 아시아 신흥국가에 대한 수출은 괜찮은데 유럽 리스크와 글로벌 소비침체가 수출 증가세를 꺾었다. 미국의 이란 제재 법안 통과 이후 커진 중동 리스크가 국제유가를 끌어올려 수입 증가율을 높였다. 수출이 둔화되는데 수입은 불어나니 무역수지는 적자가 불가피하다.
올해 수출 증가율이 낮아지리라는 전망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제기됐다. 장기화하는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로 실물경기 둔화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유럽이 휘청대는 가운데 미국 경기는 여전히 부진하고 중국마저 성장률이 낮아지면서 경착륙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미국과 이란의 밀고 당기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이란발(發) 오일쇼크 가능성도 있다. 극단적 상황이 없더라도 대외여건은 이미 우리나라 무역수지와 경상수지에 악재다.
1월 한 달 적자만으로 연간 무역적자 기조를 예상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단기적 현상이라는 분석이 우세하지만 장기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건은 2월의 수출입 흐름이다. 정부는 비상한 각오로 위기 관리에 나서야 한다. 실물경기가 둔화되는 가운데 유가가 계속 오르면 저성장 속 고물가의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까지 나오는 판이다.
정치권도 양대 선거를 겨냥해 표를 의식한 지나친 기업 옥죄기를 자제해야 할 것이다. 정치 이슈가 경제의 발목을 잡는 가운데 김정은 체제의 북한 변수까지 가세하면 한국 경제는 사면초가에 빠져들 수도 있다. 기업들은 웅크려들지 말고 아시아ㆍ아프리카 신흥국가를 중심으로 신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야 한다. 수출왕국 일본의 무역수지가 지난해 31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무역 1조달러 축포를 쏘아올린 지 한 달 만에 고꾸라진 우리 수출을 되살리는 데 경제주체 모두 힘을 합칠 때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