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의 야권통합, 극적 타결과 파국의 기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데드라인이 촉박한 야권통합 협상이 또다시 좌초위기다. 민주당 내부에서 통합과 경선룰을 둘러싼 갈등이 확대되는 한편, 혁신과 통합이 주축인 시민통합과의 협상도 파국을 맞고 있다.


이로 인해 7일 오후 서울 청담동 복합문화공간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혁신과 통합(혁통)의 창당대회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혁통은 민주당이 만족스러운 경선룰 시안을 가져오지 않을 경우 '시민 참여당' 창당을 열지 않겠다는 초강수를 꺼냈다.

혁신과 통합 오종식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숫자에 연연하지 않는다"며 "시민들의 참여가 제약될 경우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오 대변인은 "막판 협상이 결렬되면 창당대회 대신 결의대회를 열어 국민들에게 이 상황을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시민통합당 창당대회가 열리지 않을 겨우, 민주당 전당대회(11일) 직후 합당 절차에 들어가는 통합 일정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쟁점은 경선룰이다. 전당대회 참여 인원과 관련, '2대8(대의원 20%, 당원 시민 80%)'과 3대7(대의원 30%, 당원 시민 70%)안을 두고 당과 당밖의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다.


혁통은 '변화와 혁신'이라는 통합의 대의를 강조하며 국민참여가 보장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당원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주당의 당비당원인 12만명을 선거인단에 포함하고 나머지 선거인단은 약식 절차를 밟아 당원에 가입시켜야 한다고 밀어 부치고 있다. 혁통 측은 선거인단 모집때 약식 당원 가입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게 국민경선 취지에 어긋난다면서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열리는 '시민통합당' 창당대회 전까지 혁신과 통합과의 협상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손학규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야권통합은 시대적 요구"라며 막판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 손학규 대표는 이날 마지막 라디오 연설을 통해 "야권통합은 궁극적으로 정권교체를 통해 새로운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당 내부에서도 경선룰을 놓고 다수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현재까지 민주당 내에서도 '2대8'안 외에도 '2대 3(당원)대 5(시민)'안 등이 난무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의원 총회에서 의견을 모으겠지만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라고 말했다. 전날에도 민주당 최고위원회가 경선룰을 마련하기 해 밤늦게까지 격론을 벌이고, 양쪽의 협상단이 심야 회동을 가졌지만 이견은 좁혀지지 않았다.


이 와중에 문성근 혁통 상임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장외에서 난타전을 벌였다. 문 대표는 "손학규 대표와 민주당과 2대 8로 합의했고 박지원 전 대표가 통합의 찬물을 끼얹는다"며 선제 공격에 나섰다. 차기 당권주자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공개서한을 보내 "밀실 야합", "전형적인 구태 리더십"이라며 손 대표를 정면 비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