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일 경제인 "하나의 경제권 확보로 위기 극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제43회 한일경제인회의 공동성명 채택..한일 FTA 조속 도입 등 합의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한국과 일본 경제인들은 글로벌 경기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양국이 보다 긴밀하게 협력해 한일 FTA(자유무역협정) 도입을 서두르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를 기반으로 안정된 경제 환경을 구축해 동아시아 경제 공동체의 창설을 위해 협력키로 합의했다


제43회 한일경제인회의(회장 조석래)에 참석한 양국의 경제인들은 2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이틀 간의 회의일정을 마쳤다.

공동성명에서 양국 경제인은 한·일이 하나의 시장으로서 기능하도록 양국간 비관세 장벽 해소에 힘쓰며 대한투자 활성화, 역(逆)상품전시회 개최, 지역 간 교류 추진, 부품·소재산업 협력 등에 협력키로 합의했다.


나아가 한·일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하는 생산거점의 다양화 등으로 리스크를 분산하고, R&D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태양광을 비롯한 뉴에너지 등 신성장 분야에서 협력하는 한편, 서로의 강점을 살려 인프라 수출과 공동자원개발 등 제3국에서의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양국 경제인은 ▲ 한일 FTA의 조속한 실현 ▲ 인재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과 자격상호인증 제안 ▲ 미래의 국제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한일 경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청소년교류사업의 계속 실시 ▲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개최를 위한 협력 등에도 합의했다.


또 내년 제44회 한일경제인회의는 2012년 5월 16~17일 일본국 오사카에서 열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는 우리측에서 조석래 단장 등 187명이 참석했고, 일본측에서는 사사키 미키오 단장 등 121명이 참석했다.


이에 앞서 양국 경제인들은 전체회의를 통해 일본 대지진 이후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재구축과 새로운 한일경제협력의 방향, 한일 인재교류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


송병준 산업연구원 원장은 ‘일본 대지진 이후의 한일산업협력의 전개방향’ 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융합화와 녹색화로 인해 새로 창출되는 신성장 분야에서의 R&D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한·일 기업간 공동기술개발 및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창수 삼성물산 부사장은 ‘글로벌 해외 프로젝트의 전개와 협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해외 플랜트 시장에서 일본의 강점(자금력, 금융조달, 기술력 등)과 한국의 강점(결단력 및 개척정신, 가격품질 등)을 살린 윈윈 전략으로 협업하자"고 주장했다.


홍정국 도쿄대학 교수는 한국 고급인재의 일본 진출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일본 유학·취업을 위한 종합정보사이트 구축 및 공동운영 ▲한일공통전문자격의 보급 ▲한일 산학연계회의 설립 및 공동운영 ▲고급인재육성 문과계학부 유학프로그램 설립을 제안했다.


조석래 회장은 폐막식을 통해 "미국과 유럽의 불확실한 경제상황 등으로 인해 세계경제의 회복이 더디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경기부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양국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일 기자 jay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