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삼성이 기업소모성자재 구매대행(MRO) 자회사인 아이마켓코리아 지분매각 방침을 밝힌 지 한달이 지났다. MRO사업이 사회 전반적으로 논란이 된 만큼 당초 누가 감히 인수에 나서겠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인수후보자 윤곽이 하나둘씩 드러나면서 인수경쟁이 보다 치열해질 조짐이다.
이를 바라보는 주인공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MRO가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상징하는 문제로 부각되면서 단순히 높은 가격을 부르는 쪽에 팔면 끝나는 단순거래 성격을 벗어난 점도 고민거리다.
$pos="C";$title="";$txt="";$size="550,404,0";$no="2011090612262521082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팔려는 자=삼성의 '지분전량 매각' 결정은 예상밖이었다. 이에 앞서 "계열사와 1차협력사를 상대로만 영업하겠다"고 먼저 치고 나온 것도 삼성이었다. 이같은 결정을 두고 안팎에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빠른 결단력을 주목했다.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있기보다는 손해를 보더라도 깔끔히 털어버리는 게 낫다고 판단한 셈이다.
지난달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의 간담회에서도 이 회장은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업생태계를 만들고 나아가 사회가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매각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든 일단 이 회장으로선 손해볼 게 없다. 단순히 그룹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 때문만은 아니다. MRO사업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아이마켓코리아의 이익보다는 그룹 내 계열사가 소모성자재를 일괄적으로 구매하는 데서 오는 비용절감 부분이 더 크다.
거래물량을 유지하기로 한 만큼 이 효과는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이 10여년 전 MRO사업을 시작한 것 역시 각 계열사들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였다. 최근까지 그룹사 물량이 80%를 넘는다는 건 외부고객 확보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의미다. 대신 이 회장은 동반성장 이슈에 누구보다 적극 대응한 총수라는 이미지를 남겼다. 돈으로 환산하기 힘든 가치다.
◆지켜보는 자=컨소시엄 인수설이 나돌았던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아직 지켜보는 쪽에 가깝다. 중앙회가 법적으로 영리사업에 손댈 수 없는데다 직접 인수에 나설 경우 회원사간 이해관계 조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중앙회는 대기업 MRO업체가 사회적으로 문제됐을 때 반대편에 서 중소규모 MRO업체들과 같은 목소리를 내왔다.
그렇다고 김 회장이 완전히 손을 뗀 건 아니다. "외국계 자본에 넘어갈 경우 국내 중소기업에 해가 더 크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회에 따르면 삼성의 매각 발표 후 사모펀드 등 다양한 곳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같이 인수하자고 제안했지만 전부 거절했다. 그러나 외국계 자본이 아이마켓코리아를 인수하려는 움직임이 보이자 물밑에서 적극 움직이는 모양새다.
제4 이동통신사업을 추진할 때와 마찬가지로 직접 자금을 대진 않겠지만, 범중소기업계가 한데 뭉치는 데 중심역할을 자처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외국계 자본이 본격적으로 인수에 나설 경우, 김 회장 역시 전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사려는 자=현재까지 가장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인 곳은 인터파크다. 이기형 인터파크 회장은 평소 "향후 성장동력이 될 신규사업을 찾아 적극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MRO사업이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도 이 회장에겐 매력적이다. 벤처 1세대로 이 회장이 국내 온라인상거래시장 터를 닦아온 점을 감안하면 현 주력사업(종합쇼핑몰)과 시너지도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B2C시장에서 키운 브랜드이기에 B2B 시장공략도 어렵지 않다는 계산이다. 삼성 역시 여론을 감안, 국내 대기업이나 해외자본보다는 중소규모 국내기업에 우선 매각할 방침이다.
인수자금 마련에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때 9000억원을 상회했던 아이마켓코리아 시가총액은 삼성이 매각방침을 밝힌 후 하락해 삼성계열사가 가진 지분(58.7%)은 4000억원선으로 낮아졌다. 지난 2009년 이베이에 G마켓을 매각해 인터파크가 남긴 차액은 4600억원이 넘는다.
최근 실적이 신통찮긴 했지만 올 상반기 기준 유동자산이 2000억원 정도여서 인수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팔려는 곳의 의지가 확고한 만큼 경영권 프리미엄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나 앞으로 인수경쟁이 치열해질 경우 주가상승으로 인해 금액이 올라갈 가능성은 남아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최대열 기자 dycho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최대열 기자 dychoi@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