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몽준 "박근혜가 화난 얼굴로…" 비화 공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0초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정몽준 한나라당 전 대표가 자서전 '나의 도전 나의 열정' 출간을 계기로 대권행보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특히 정 전 대표는 이 책에서 그의 정치 인생 중 박근혜 전 대표와 충돌을 빚었던 숨겨진 이야기를 공개하가며 눈길을 끌었다.

정 전 대표는 출판 기념회에 앞서 4일 여의도 한 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박 전 대표를 비판하기보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중요한 정치인이므로 경험했던 사례를 최소한 말하는 게 도리고, 국민도 알면 참고가 된다고 본다"며 비화를 하나둘씩 꺼냈다.


정 전 대표는 먼저 박 전 대표가 2002년 5월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남북 축구경기 개최를 합의한 뒤 경기가 개최되는 과정을 공개했다.

정 전 대표는 2002년 9월 남북 축구경기 당일을 떠올리며 "박 전 대표가 먼저 경기장에 와있었는데, 나를 보더니 화난 얼굴로 왜 약속을 지키지 않느냐고 했다"며 "무슨 소리인가 했더니 관중들이 한반도기를 들기로 했는데 왜 태극기를 들었느냐는 것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 시작 전 붉은 악마가 '대한민국'을 외치자 박 전 대표는 구호로 '통일조국'을 외치기로 했는데 왜 약속을 지키지 않느냐고 다시 내게 항의했다"고도 덧붙였다.


지난 2009년 9월 당 대표 취임 이후 박 전 대표와의 회동 결과 브리핑을 둘러싼 마찰과 당 세종시특위 구성 과정에서의 겪은 박 전 대표와의 마찰도 함께 소개했다.


이를 놓고 "화를 내는 박 전 대표의 전화 목소리가 하도 커서 같은 방에 있던 의원들이 걱정스러운 얼굴로 나를 바라보는 바람에 아주 민망했다. 마치 '아랫사람들'끼리 알아서 하라는 투로 들렸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최근 박 전 대표의 포린어페어스 외교·안보 기고문에 대해 '대필' 의혹을 제기한 배경에 대한 즉답을 피하면서 "박 전 대표와 남북관계에 관해 진지하게 대화할 기회가 있으면 한다"고 밝혔다.


정 전 대표는 "20여년간 정치인생에서 나를 힘들게 한 때는 2002년 대통령 선거 마지막 순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던 밤"이라고 회고했다.


당시 상황에 대해 그는 "단일화는 했지만 '반미면 어떠냐'는 노무현 후보의 인식이 바뀌어야만 (공동유세에) 합류할 수 있다고 강하게 주장했다"며 "10여일간 협상을 벌인 끝에 한미 관계에 있어서만큼은 노 후보 쪽이 우리 입장을 따르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노 후보 진영의 취약한 외교안보 분야를 우리가 보완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었다"며 "이후 노 후보 측에서 나를 '국정동반자'라고 표현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대선 전날 명동과 종로 유세에서 '국정동반자'에 대한 신뢰가 깨졌다고 밝혔다. "명동 유세에서 노 후보는 '북한과 미국이 싸우면 우리가 말리겠다'는 말을 하며 우리 쪽과 합의한 기본원칙을 완전히 뒤집었다"며 "종로 유세에서 노 후보가 정동영 의원을 데리고 (단상에) 올라갔다. 단일화와 공동정부를 나타내는 나와 노 후보의 협력 모습은 사라지고, 노 후보를 양옆의 두 사람이 떠받드는 이상한 모양이 연출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지 철회 후 나는 다음해 2월 초 현대전자 주가조작 사건으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며 "또한 내가 주주로 있는 현대중공업은 노 대통령 재임 중 4개월 이상 세무사찰을 받았다"고 밝혔다.


정 전 대표는 또 자서전을 통해 2022년 월드컵 유치차 지난해 10월 러시아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와 만났을 때 '남북 가스관 사업'을 협의했다고 했다.


당시 푸틴 총리는 액화 천연가스의 선박 운송을 통한 한국으로의 수출을 제시했으나, 정 전 대표는 북한을 경유하는 가스관을 건설, 수송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정 전 대표는 "푸틴 총리는 '북한이 경유지인데, 문제를 일으키면 어떻게 하느냐'고 주저하는 모습이었고, 내가 '북한이 문제를 일으키면 러시아가 가스관을 잠그면 되지 않느냐. 북한에 주는 통과료도 가스로 주면 상관없을 것'이라고 설명하자 푸틴 총리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기자간담회에서 "남북 가스관 사업이 진행되면 좋지만, 이 사업을 한다고 남북관계가 변화한다고 성급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정 전 대표는 오는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무소속 출마설이 여의도 정가를 뒤흔들고 있는 것과 관련 "최소한 친북은 아닌 것 같고, 대기업에 대해 비판적이기는 하지만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를 지향한다고 이해한다"며 "한나라당과 같이 갈 수도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또한 "안 원장을 지지하는 사람은 중도인 분이 많다"며 "안 원장이 중도에 잘 포진해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