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혼돈증시' 탈출신호 어디서 찾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9초

[골드메이커]선진국 경기 회복땐 증시 한단계 도약

글로벌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며 우리가 그동안 허상을 보고 투자했던 것은 아닌지 고민이다.


수개월 전만 해도 유럽 재정위기 문제와 미국 부채 이슈는 큰 고민꺼리가 아닐 것으로 믿어왔기 때문이다.

모든 문제는 결국 해결될 것이란 큰 틀은 바뀌지 않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사태와 같은 예측하기 힘들었던 상황이 재현되며 글로벌 경제환경도 상당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우리는 이럴 때 펀더멘탈이 얼마나 빠르고 크게 변화하는지를 점검하고, 우리 주식시장의 본질(기업이익)을 확인하며 시장국면을 판단하는 것이 필요한 때이다.

먼저 유럽과 미국발 악재에 대한 재점검이 시급해 보인다. 7월까지 제기되었던 그리스 디폴트 가능성은 유럽연합의 재정지원 합의로 일단락되었고, 미국의 부채한도 증액 관련 이슈도 상,하원 합의를 통해 해소된 것으로 봤다.


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 투자은행의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에서 시작된 신용이슈가 소멸된 것은 아니었고, 그 심각성이 국가부채로 확산되어 가고 있었지만 이 부문이 주요국 정책 공조와 대응으로 무마될 수 있다는 믿음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리스 재정위기 문제가 등장한 것이 어느덧 3년 전이고 그 우려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번에 제기된 미국의 부채이슈는 상당히 오랜기간 동안 미국의 근본을 뒤흔드는 변수가 될 것이다.


미국 경제를 비관하는 것은 글로벌 금융시스템을 부정하는 것과 같은 만큼,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 개선 기대는 높은 편이다.


그러나 스탠다드 앤 푸어스가 국가신용등급을 강등시키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것은 재정 감축안을 도출하는 과정에 미국 정치권이 보인 불협화음에 대한 불만으로 볼 수 있다.


만약 향후 미국 경제가 침체의 위협을 받을 경우 부양책의 발동도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는 불안을 투자자에게 심어준 영향으로 판단된다.


최근 금융시장 여건이 악화됨으로써 이제 정책당국도 여론을 의식할 여지가 높고, 이제 예고된 침체의 속도와 수준을 차단하기 위한 현실적인 부양카드가 논의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쉽게도 미국 경제는 가까운 시일 내에 마이너스 성장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 경제가 침체를 나타낸다면 시차를 두고 신흥국 경제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그러나 그 가능성을 인지했다면 정부는 그 상황을 막기 위한 노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이다.


수 년 동안 진행된 부양책을 보면 정부와 중앙은행을 중심으로 유동성 공급을 통한 시장 안정을 취해왔지만, 단순히 유동성 효과에 의한 기대인플레이션을 높이는 방식으로 실물경제가 개선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정부와 기업 간의 공조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고, 기업이 잉여자금을 유보하지 않고 신규고용과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규제 및 완화 정책이 준비될 것으로 보인다.



현실적으로 어떤 경기부양책이 등장할 지를 예상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주식시장이 적정 수준을 하회한다면 비중 확대를, 적정 수준을 넘어선다면 시장국면의 전환 가능성을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우리 주식시장은 펀더멘탈 훼손 우려가 커졌지만 적정 수준과 비교하면 상승여력이 여전히 큰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 기업의 2011년, 2012년 예상 순이익은 각각 112조원, 127조원으로 예상된다. 2011년 기업이익은 전년보다 약 28% 증가한 수준이다.


다만 최근 제기되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수요둔화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낙관적인 전망이 반영된 이익전망은 수정될 가능성도 커졌다.


이익모멘텀이 약화된다면 앞으로 우리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 저항은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큰 틀에서 보면 2004년과 2007년 사이 우리 기업의 평균적인 연간 순이익은 약 57조원 내외였다.


2010년 순이익은 87조원을 넘었고, 올해 예상이익이 하향 조정되더라도 지난해 수준 이상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절대적인 이익 수준이 레벨업됐기 때문에 주식시장의 적정 수준도 상당히 상향되었을 것으로 판단한다.


12개월 예상이익이 앞으로 약 10% 하향 조정됨을 가정한 수정EPS를 기준으로 한다면 Kospi 1,800pt 내외는 9.2배 수준으로 상승여력이 있다.


앞으로 글로벌 경기하강 속도와 기업이익 모멘텀 훼손 정도에 따라 기존 추세의 복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한다.


미국과 유럽경제 악화가 글로벌 경제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아시아 주요 신흥국은 중산층 증가와 구매력 확대, 높은 저축률을 기반으로 펀더멘탈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앞으로 서구권 선진국 경기의 회복이 확인된다면 우리 경제 및 주식시장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송상훈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송상훈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