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남호 회장 귀국하면 해결?···재계, “근거 없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8초

재계, 목소리 낮추면서도 한진중 사태 예의 주시중


조남호 회장 귀국하면 해결?···재계, “근거 없다”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
AD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오는 5일로 조남호 회장의 외국체류 기간이 50일째에 접어드는 가운데, 재계는 한진중공업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이슈가 되고 있는 정리해고 문제를 노사간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권과 노동ㆍ사회단체들이 개입해 사태가 해결점을 보이지 않은 점에 주목하며, 조 회장이 이들의 요구에 응할 경우 자칫 오너의 경영권한에 흠집이 나지 않을까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누굴 만나야 하나?= 지난 6월 17일 출국한 조 회장은 당초 지난달 말경 한국으로 돌아올 예정이었으나 해외 선박 수주 영업 활동이 길어지면서 일정을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사태를 일부러 회피하기 위해 그가 귀국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조 회장이 귀국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게 재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대기업 고위 관계자는 "조 회장이 한국에 들어와서 문제를 논의해야 할 사람이 누구인가? 노사는 이미 정리해고 문제를 희망퇴직으로 전환키로 합의하고, 떠나는 직원들이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책도 마련했다"며 "타워 크레인에 올라가 있는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도, 청문회를 열겠다는 국회의원들도 직접적인 대화 상대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도 “정리해고는 회사가 갖는 고유의 경영권한 중 하나이며, 상황에 따라 경영진이 결정하는 것”이라면서 “만약 조 회장이 외부 개입에 굴복한다면 회사 경영체제를 흔드는 사례를 남기게 된다는 점에서 다른 기업들도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너만이 정답?= 정치권과 노동단체들이 조 회장의 책임론을 주장하는 것은 조 회장이 회사의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진중공업은 실질적으로는 이재용 사장 등 전문경영인들이 운영하고 있다. 오너가 회사 문제에 개입할 경우 전문경영인의 권한이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과거에 이런 사례를 접한 바 있다. 1980~1990년대 현대나 대우에선 정주영 회장과 김우중 회장이 직접 노조위원장과 담판했다. 이를 두고 언론은 '재벌총수가 직접 노조를 상대한다'며 호의적으로 보도했으며 잠시 동안은 노사가 평화를 유지하는 듯 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오너의 책임감이 상황을 더 나빠지게 만들었다. 문제만 발생하면 노조는 오너 담판을 원하며 전문경영인은 대화상대로 인정하지 않았고, 전문 경영인도 오너의 눈치만 보느라 제대로 대응을 못한 것이다.


재계는 LG그룹의 예를 들었다. 한 관계자는 “LG그룹은 해외관련 업무나 주주총회 등 법률상 필요한 경우 외엔 모든 권한을 전문경영인에 이양하고 노사문제도 마찬가지였다. 노조원들이 회장실을 점거 농성할 때도 ‘당신네 사장과 얘기하라’며 상대하지 않았다”며 “이헌조 LG전자 고문은 전문경영인 시절 노조와 협상하면서 사실상 전권을 행사했다. 노조측이 작업장의 안전도를 높여달라고 요구하자 이 고문은 ‘근로자들이 불안을 느끼는 환경에서 어떻게 일을 제대로 할 수 있겠냐’며 노조가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안전 설비를 갖춰주겠다고 약속했다. 이로 인해 LG전자 노사 문화는 현대와 대우와는 달랐다”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측은 "노동계와 정치권은 한진중공업 사태를 구조조정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가져가 정치 투쟁을 벌이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조 회장이 귀국을 한다고 해도 문제가 해결될 수 없을 것이며 오히려 기업에 대한 무차별적 견제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명석 기자 oricm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