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권해영 기자]삼성전자가 애플과의 특허권 공방을 유럽 등지로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애플이 노텔의 통신관련 특허권을 사들여 양사의 특허권 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4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과 한국에서 시작된 애플과의 특허권소송을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지난 6월29일에는 영국, 30일에는 이탈리아 법원에서도 특허권 침해 혐의로 애플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같은 달 28일에는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등 6개 제품 등이 특허를 침해했다는 이유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애플 제품 미국내 수입금지를 요청하기도 했다. 애플이 미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만 삼성전자를 제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소송 건수로 보면 삼성이 6개국, 애플이 3개국에 달한다. 삼성이 애플과의 소송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삼성전자의 특허 공방은 통신관련 특허에서 자신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3G 통신과 관련된 기본 기술과 더불어 단말기 회사에게 꼭 필요한 기지국과의 통신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기술, 데이터 전송시 수신 오류를 감소시키는 3G 기술 표준 특허, 디지털 음악의 전송 및 저장, 재생에 관련한 특허 등을 확보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에서 통신 분야 특허 5933건을 포함해 총 2만870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4551건의 특허권을 확보하는 등 경쟁업체들을 따돌리며 멀찌감치 앞서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애플은 디자인에서 특허소송을 제기했을 뿐 통신기술에서는 불리하다는 입장이 팽배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통신기술에서 상대적으로 열세인 애플이 노텔의 통신관련 특허 약 6000건을 확보하면서 양사의 특허권 소송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애플은 최근 리서치인모션,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노텔이 보유한 통신 관련 특허 약 6000건을 45억달러에 사들였다. 이는 구글이 처음 제시한 금액의 5배에 이른다. 삼성전자도 특허방어 펀드 RPX를 대리인으로 앞세워 경매에 참여했지만 노텔의 특허권 확보에 실패했다.
글로벌 IT 업체들이 노텔의 특허권을 탐내는 까닭은 노텔이 2세대(2G), 3세대(3G) 이동통신 관련 특허를 비롯해 4세대(4G) 관련 특허를 포함한 방대한 통신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향후 애플이 노텔로부터 획득한 특허가 두 회사의 특허권 공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는 삼성전자가 특허 소송에서 유리한 입장을 차지했지만 통신 관련 특허에 취약했던 애플이 대량의 특허를 확보하게 되면서 한치 앞도 알 수 없게 됐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삼성전자는 지난 27일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낸 소송을 6월30일 취하하고 애플의 소송에 대해 반소(反訴, Counterclaim)를 제출하는 등 선택과 집중을 병행하고 있다. 반소는 원고가 제기한 소송 내에서 피고가 원고에 대해 제기하는 새로운 독립 소송으로 삼성전자가 따로 제기했다가 이번에 취하한 본소송과 사실상 차이가 없다.
삼성전자가 본소송을 취하한 것은 동일한 내용의 소송 2개를 동시에 진행하는 데 따른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하나에 집중해 서둘러 송사를 마무리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대신 삼성전자는 기존에 특허권 침해로 문제를 제기한 10건 중 2건을 제외하고 신규로 4건을 추가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지난 1989년 휴대폰 사업에 진출한 이후 글로벌 휴대폰 디자인, 기술 관련 어워드에서 총 180건이 넘는 상을 받으며 기술과 디자인을 인정 받아왔다"면서 "애플이 제기한 디자인, 기술 등 어느 측면에서도 삼성전자는 특허 침해 사실이 없으며 적극적 대응으로 자사가 보유한 특허권에 대한 권리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아직 삼성과 애플이 확보한 통신 관련 특허를 면밀히 따져보지는 않았지만 예전보다 삼성이 불리해진 것은 사실"이라며 "삼성이 최근 반대 소송을 제기하고 특허 공방 국가를 늘려가는 등 적극적 행보에 나서며 빨리 특허권 공방을 끝내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
권해영 기자 rogueh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