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학의 입학전형료 장사 여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이상미 기자]대학들의 입학전형료 장사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30일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를 통해 공시한 '2011학년도 입학전형료 현황'에 따르면 4년제 181개 일반대학이 지난해 벌어들인 전형료 총수입은 2295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8.5% 늘었다.


응시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전형료 수입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2011학년도 응시인원은 409만7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2.9% 늘었다. 학생 1인당 평균 입학전형료는 지난해에 비해 2.8%(약 1500원) 늘어난 5만5300원으로 집계됐다. 입학전형료는 국공립 대학(약 3만6900원)이 사립대학(약 5만8500원)에 비해 낮고, 비수도권 소재 대학(약 3만8700원)이 수도권 소재 대학 (약 6만6600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대학교육협의회는 입학전형료에 대한 대학의 자발적인 인하와 함께 단계별로 이뤄지는 전형료의 환불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교협은 이와 별도로 수시모집 지원 횟수의 적정화를 유도해 불필요한 전형은 줄여나가기로 했다.


공시자료에 따르면, 181개 4년제 일반대학 중에서 7개 대학은 입학전형료 수입에서 광고·홍보·행사비, 입시수당 등 지출을 뺀 차액으로 10억 원이 넘는 이익을 챙겼다. 특히 수원대는 입학전형료로 31억4000여만원을 받고 15억8000여만원을 지출해 15억5000여만원을 남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성신여대(12억3000여만원), 경기대(12억2000여만원), 단국대(11억4000여만원), 국민대(10억9000여만원), 인하대(10억5000여만원), 동국대(10억2000여만원) 등 모두 7개 사립대학이 10억 원 이상을 남겼다. 지난해에도 한양대와 동국대, 경기대, 성균관대, 경원대, 중앙대 등 6개 대학이 입학전형료 수입에서 지출을 빼고 10억 원이 넘는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한편 이날 함께 공시된 4년제 181개 일반대의 2011년도 예산자료에 따르면 올해 학교당 평균 예산은 1643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6.6% 증가했다. 학교 종류별로 국·공립대는 3%(74억 원), 사립대는 7.6%(104억 원)가 각각 늘어났다.




이상미 기자 ysm125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