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학생 '디지털 독해력' 세계TOP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김도형 기자] 세계 학생들의 디지털 읽기 소양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최초로 실시된 이번 평가는 컴퓨터를 이용해 다양한 사이트와 웹 페이지의 정보들을 활용하는 사고력과 창의력을 측정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에서 최초로 실시한 2009 디지털 읽기 소양 평가(DRA)에서 우리나라가 전체 19개 참여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평가 점수는 568점으로 2위 뉴질랜드(537점)와는 31점의 차이가 났고 평균 점수(499점)과 비교하면 69점이 높았다. 또 우리나라는 상ㆍ하위 학생 사이의 점수 차이 역시 OECD 평균 120점에 비해 32점 낮은 88점으로 나타나 DRA 학력차이 역시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최상위 수준에 속하는 학생 비율 역시 19.2%로 전체 참여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세계 주요 19개국에서 3만8000명이 참여한 이번 평가는 OECD가 현대인의 읽기 행위가 디지털 환경에서 자주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 2009년에 PISA와 함께 실시했다. 우리나라는 중학교 20곳, 고등학교 137곳의 학생 1488명이 참여했다.


OECD의 디지털 읽기 소양 평가는 컴퓨터 화면에 출제된 문제를 읽고 화면에 답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홈페이지 접근, 전자메일 송수신, 웹 게시판 활용 등의 지식과 기술을 측정하는 문항도 포함됐다. 이번 결과와 관련해 해외에서는 우리나라가 조기 정보통신기술 교육을 중시하고 학교 수업에서 컴퓨터를 활발하게 활용하면서 학생들의 디지털 독해력이 높아졌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29일 "우리 학생들이 인터넷 상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런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환경에 맞게 교육을 변화시켜 나가겠다"며 디지털 기반의 교과서와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 온라인 수업과 평가 활성화를 추진하고 클라우드 컴퓨터에 기반한 초ㆍ중ㆍ고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투자를 더욱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도형 기자 kuerte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