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누구나 웹에 자유롭게 접속해 정보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구글코리아(대표 정원진)는 14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노인, 어린이 등 모든 계층에게 정보 접근과 활용을 쉽게 해 주는 구글의 '웹 접근성' 기술을 소개했다.


이 날 간담회에는 미국 구글 번사에서 웹 접근성 분야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연구 과학자 티브이 라만(T.V Raman)박사가 참석, 웹 접근성에 대한 구글의 철학을 설명하고 관련 기술을 직접 시연했다.

"누구나 웹에 자유롭게 접속해 정보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구글 연구과학자 티브이 라만 박사
AD

라만 박사는 "컴퓨터와 인터넷 등 디지털화된 정보로 사람들이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방식이 크게 달라졌다"며 "시각과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에 있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전세계 정보를 체계화해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하려는 구글의 목표와도 일치한다는 설명이다.


라만 박사는 구글 '크롬북'의 음성 지원 기능 등 구글의 웹 접근성 기술을 시연해 보이며 디지털 정보가 언제 어디서나, 어떤 방식으로도 접근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례로 구글의 동영상 채널인 유튜브는 청각 장애인들도 동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자막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전세계 도서관 장서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한 구글 북스는 각종 언어와 오디오, 점자로도 지원된다. 라만 박사는 "웹 접근성 기술 개발은 장애인에만 한정되는 게 아니다"라며 "번역기술을 통하면 정보 접근성이 늘어나고, 시끄러운 장소처럼 환경의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영상에 자막이 달려 있으면 더 편리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을 위한 기술 개발이 일반인들의 웹 접근성도 높여 준다는 얘기다.


라만 박사는 14세 때 녹내장을 앓은 후 시력을 잃었다. 그 이후 코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2005년 구글에서 시각이나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 라만 박사가 이끄는 기술개발팀은 구글 검색이나 크롬, 지메일 등 구글의 각종 서비스에 적용되는 수십개의 기술을 개발하는 성과를 올렸다.


라만 박사는 "웹 접근성은 모두가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구글은 이런 서비스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