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경제효과·어디에 어떤 시설 들어서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충청도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최종 입지로 선정됨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디에 어떤 시설이 들어설지 관심을 끌고 있다. 과학벨트가 산통 끝에 부지 선정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제적 효과에도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16일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는 대전으로 최종 확정됐다. 거점지구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설 예정이다.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중이온가속기는 대전 유성구 신동지구와 둔곡지구에 건립될 예정이다. 이곳은 대덕특구 2단계 개발이 예정됐을 만큼 기존 대덕연구개발 특구와 인접해 있어 높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대덕연구개발 특구에는 정부출연연구소, 기업연구소, 대학들이 집적돼 있다. 국내 최대의 기초ㆍ응용연구소 등과 연계를 통해 과학벨트가 조기에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선정 과정에도 반영돼 대덕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신동지구와 둔곡지구은 연계발전과 우수 연구인력 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전국 주요 도시의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2시간 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다.
기초과학연구원은 그 동안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의 중심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기초과학연구원이 입지할 곳을 세계적 수준의 '과학도시'로 키운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선진국의 '과학도시' 모델도 적극적인 벤치마킹 대상이다.
주로 거론되는 '과학도시' 중 하나는 독일의 드레스덴이다. 드레스덴에는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막스플랑크 연구기관 3개, 산업기술을 담당하는 프라운호퍼 연구기관은 11개, 다양한 연구 분야를 소화하는 라이프니츠 연구기관도 5개나 있다. 이들 연구소는 독일 최대의 공대인 드레스덴 대학과 과학비즈니스 단지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연구 성과를 활용하기 위해 인피니온, AMD, 폭스바겐 등 유수 기업들도 모여 있다.
기초과학연구원과 함께 둔곡ㆍ신동 지구에 건립되는 '중이온가속기'의 역할에 대해서 과학계는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중이온가속기'는 원자보다 작은 펨토(10의 15제곱 분의 1) 수준의 미시세계를 연구하는 거대과학장치로 우주의 근원과 신물질을 밝히는 연구에 쓰이고 에너지, 환경 등의 연구에서도 획기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시설이다. 특히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해 원소생성 과정, 우주와 별의 진화과정을 규명하거나 원자력, 핵융합, 의학, 바이오, 물성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에는 50개의 연구원이 세워질 예정이다. 정부는 이중 일부를 본원과 인접한 곳에 세우고 나머지는 지형균형 발전 차원에서 분산배치할 방침이다.
정부는 국내 생명과학과 첨단의료 분야의 중추인 오송ㆍ오창 지구와 연계해 상호 시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이곳에 과학벨트 기능지구를 건립할 계획이다. 오송ㆍ오창에 건립되는 기능지구는 인근 세종시와의 연계를 통해 거점지구에서 수행되는 각종 연구와 관련된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천안, 연기(세종시)도 기능지구로 지정됐다.
한편 과학벨트가 본격 추진 가동될 경우 국민경제 차원의 생산유발액은 235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지난해 8월 발간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학벨트가 계획대로 조성됐을 경우 20년간 국민경제에는 생산 235조9000억원, 부가가치 101조8000억원, 고용 212만2000명의 효과가 기대된다. 연평균으로는 생산 11조8000억원, 부가가치 5조1000억원, 고용 10만6000명 수준이다. 이와 함께 기초과학 분야의 다양한 성과로 '기초과학 강국 실현'을 가능케 할 것으로 보고서는 기대했다.
정부는 구체적으로 ▲중이온가속기로 새로운 원소를 발견해 주기율표에 추가 ▲우리나라 SCI 논문 점유율(2.42%, 2008년 기준) 10년 이내 2배 증가 ▲20~30년 후 국가성장동력 창출의 중추 역할 등의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