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벨트 입지 대전확정?"...지자체 반발 잇따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로 대전이 선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과학벨트위원회 평가 결과를 검토, 16일 입지 선정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대전 확정설'이 먼저 알려지며 갈등을 낳고 있다.


여권 관계자 등에 따르면 대전은 과학 연구소와 과학자들이 밀집해있고 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 때문에 높은 평가 점수를 받았다. 과학기술계에서도 대전 입지를 찬성하는 여론이 많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은 대전에 통합 배치되는 방안이 유력하다. 또한 기초과학연구원의 50개 연구단 중 25개를 대전에 세우고 나머지 25개는 과학벨트 최종 후보지로 올랐던 5곳에 분산 배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벨트 유치에 뛰어들었던 다른 자치단체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13일부터 "불공정한 평가에 의해 입지가 결정될 것을 우려한다"며 도청 집무실에서 단식투쟁에 돌입했다. 경북과 대전, 울산을 묶어 유치전을 벌였던 영남권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위원회는 그간 신공항 유치가 백지화된 만큼 과학벨트를 반드시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3개 시도 유치위원회는 15일 경북도청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강경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광주시와 과학벨트호남권유치위원회는 15일 교과부를 찾아 공정평가를 거듭 주장했다. 국회에서도 기자회견을 갖고 충청권 입지론을 반박했다. 호남권 유치위원회는 아직 입지 발표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적극적 반발은 유보하는 모양새다. 특히 언론에서 대전권 확정설을 보도하는 것에 대해 "미리 특정지역을 정해 놓은 상태에서 타 지역은 들러리를 서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드러냈다.

한편 충청북도 역시 과학벨트가 대전 아닌 충청권에 입지해야 한다며 반발했다. 충청북도는 14일부터 도청 대회의실에서 농성에 들어간 상태다. 이와 관련해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충청권에, 기능지구는 충북 오송·오창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