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가 대전권으로 정해지면서 앞으로의 추진일정과 성과에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지난해 8월 발간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예정대로 과학벨트가 들어서면 국민경제 차원의 생산유발액은 최대 256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고용유발인원은 225만8000명, 부가가치유발액은 109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벨트 관련예산계획에 따르면 전체 3조5487억원 중 중이온가속기와 연구시설건설비는 1조1095억원이며 R&D(연구개발) 예산은 1조7710억원이다.
과학벨트는 2005년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이던 민동필 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이 과학·인문·예술계 학자그룹 ‘랑콩트르(Rencontre·만남)’에서 ‘세계 일류 과학자들이 모여 토론·연구하는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공간’을 제안하며 논의가 시작됐다.
이어 2006년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이 그해 4월 ‘은하수 프로젝트(Milkyway Project)’를 만들면서 과학벨트를 넣었다.
2007년 9월엔 한나라당 일류국가비전위원회 과학기술분과위원회에서 과학기술분야 대표 공약으로 ‘국제과학기업도시’를 제시했다가 그 해 12월 한나라당 대선후보공약집에 ‘일류국가 희망공동체 대한민국’(50쪽)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이 들어갔다.
그리고 이명박 시장이 대통령이 되면서 만들어진 인수위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전담팀(TF)이 설치됐고 2008년 10월 교기부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지원단이 출범했다.
지난해 1월 정부가 세종시를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수정안을 만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세종시에 넣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그해 6월 수정안이 국회서 부결되면서 논란이 일었고 16일 최종입지가 발표됐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