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밤이면 밤마다>, 기획 섭외의 탈을 쓴 땜빵 섭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밤이면 밤마다>, 기획 섭외의 탈을 쓴 땜빵 섭외
AD

<밤이면 밤마다> 월 SBS 밤 11시 15분
어제 <밤이면 밤마다>(이하 <밤밤>)는 절호의 찬스를 놓쳤다. 강력한 라이벌 MBC <놀러와>는 윤상, 김광민, 이병우를 초대해 ‘월요예술무대’를 꾸몄다. TV에서 자주 볼 수 없는 뮤지션의 조합에서 젊은 쎄시봉을 기대하는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예능은 ‘역시 재미가 먼저’라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측면 공격으로 ‘우리도 있소!’하고 존재감을 어필할 수 있는 기회였다. 강력한 한 방은 없지만 기본 예능감이 있는 김동완, 알렉스, 옥택연, 장우영, 임슬옹을 ‘가수 출신 연기자’로 묶은 것도 나쁘지 않았다. 게다가 MC 탁재훈, 정용화, 유이도 같은 ‘가수 출신 연기자’니 주제에만 충실해도 재미있는 에피소드와 진솔한 고백이 기대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어제 <밤밤>은 게스트 간은 물론 게스트와 MC의 시너지도 전혀 발휘되지 못한 가운데 주제가 안드로메다로 가 버렸다. 기획 섭외의 탈을 쓴 땜빵 섭외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 방송이었다. ‘가수 출신 연기자’라는 게스트의 성격과 주제는 ‘자기 시선’, ‘걸고 찍을게요’ 같이 생소한 드라마 용어에 실수했던 이야기에서 겨우 드러났지만 이 역시 처음부터 끝까지 중구난방으로 이어진 아이돌 사생활 폭로에 묻히고 말았다. 가수 출신 연기자들이 어떤 편견 속에서 얼마나 힘든지를 구구절절 진지하게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출연했나 싶은 아이유와 종영한지 1년이 다 된 KBS <신데렐라 언니>의 문근영을 끌어 와, 상대 여배우와의 에피소드를 몰아가기 식 가십으로 소비하는 건 방송 후 쏟아질 연예 기사 거리를 제공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밤밤>이 알아야 할 것은 <놀러와>의 섭외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고, 시청자가 원하는 건 다음 날 클릭을 유도하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이 아니라 지금 공감하고 웃을 수 있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김희주 기자 fiftee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