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UN안보리,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결의안 가결.. 공습 '초읽기'(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가 리비아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승인했다. 미국·영국·프랑스 등이 빠르면 몇 시간 내로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측 정부군 세력에 대한 군사행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UN안보리는 17일(현지시간) 리비아 상공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결의안을 가결했다. 표결에 참여한 15개 국가 중 미국·영국·프랑스 등 10개국이 찬성했으며 러시아·중국·독일·인도·브라질의 5개 국가는 기권했다.

안보리 결의안은 ‘외국 군사력이 어떤 형태로든 리비아 영토에 진주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정부군의 공격행위를 중단시키고 민간인을 보호를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UN안보리의 결정으로 이르면 몇 시간 안에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의 항공전력이 리비아 정부군에 대해 공습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

카다피는 17일 국영TV에서 정부군이 몇 시간 안에 벵가지를 공격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카다피에 충성하는 정부군이 우세한 군사력으로 반정부 시민군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이날 정부군 전투기가 반정부세력의 근거지인 벵가지 외곽을 폭격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비행금지구역의 설정은 제공권 확보 외에 아군 항공기와 파일럿을 보호하기 위해 대상국가 방공시스템 등의 목표를 타격하는 것도 포함된다”면서 카다피 정부군에 대한 폭격과 반정부 세력에 대한 무기 공급도 고려 대상이라고 밝혔다. 미 국방부 관계자도 결의안 통과 즉시 리비아 내 주요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알랭 쥐페 프랑스 외교장관은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면서 “카다피군이 계속 리비아 시민들의 숨통을 조여 오고 있으며 더 늦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영국 BBC방송은 UN 안보리가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승인할 경우 인근 아랍 우방국의 지원 아래 영국과 프랑스 항공전력이 함께 공습에 나설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브라힘 다바시 유엔주재 리비아 부대사는 요르단·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연방(UAE) 등 5개 아랍 국가들이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사전문가들은 미국과 NATO가 우선 리비아 정부군 전투기와 공격용 헬기를 격추하고 더 나아가 리비아 대공미사일기지나 군사시설을 향해 크루즈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으며 무인항공기(UAV)를 동원해 카다피군의 탱크·장갑차와 공격거점을 공격할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결의안 발표에 앞서 카다피는 포르투갈TV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UN안보리의 결의는 무효이며 그들의 결정을 따를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가 미쳤으면 우리도 미칠 것”이라면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다.


알자지라TV는 반정부 시민군의 근거지인 벵가지에서 수많은 시민들이 시내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 모여 결의안 통과 소식을 지켜보며 환호했다고 전했다.


데이비드 하트웰 IHS글로벌인사이트 중동전문가는 “상황이 매우 심각하게 전개되고 있다”면서 “정부군이 카다피의 장담대로 빠르게 진격을 개시할 경우 미국과 동맹국들은 앞으로 48시간 내에 어떻게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하메드 엘 카티리 유라시아그룹 애널리스트는 “외국의 개입이 카다피측으로 하여금 세력을 더 늘리는 빌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면서 “이후 사태의 향방을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