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취업]'별'의 이직, 내공을 보여라

시계아이콘02분 4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최근 A기업 전무로 경력이직한 B씨는 얼굴에 웃음꽃이 지지 않는다. 옛 직장보다 높은 연봉, 좋은 차량 등 더 좋은 조건으로 일하게 됐기 때문이다. A사는 업계 최대 규모의 회사다. B씨 주변 인물이 그의 이직에 놀랄 정도다. A사 관계자는 수많은 후보자 중 B씨를 택한 이유로 "업무 이해도가 높고 평판도 좋아 준비된 인재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제2의 취업 '경력이직'이 일반화됐다. 임원급도 예외는 아니다. 때론 조직 내 쇄신을 위해, 때론 전문가 영입을 위해 회사들은 외부인재를 임원으로 데려온다. 임원이직은 그 중요성 상 비공개로 조용히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지는 직장인 경력이직 시리즈의 첫회로 임원이직을 알아봤다.

◆임원이직, 짧아도 2~3개월 걸려=임원영입은 기업의 의뢰로 주로 헤드헌팅 업체들이 진행한다. 임원급 인재를 다룰 수 있는 곳은 헤드헌팅 업계서도 손에 꼽힌다. 임원영입을 원하는 이유는 기존인재 교체, 신규사업 진출 등 다양하다. 일단 의뢰가 들어오면 헤드헌팅사와 의뢰사의 미팅이 이뤄진다. 정확히 어떤 역할을 맡게 될지, 원하는 자격요건은 무엇인지, 기업문화는 어떠한지 등 세부 요건을 논하는 자리다.


인재상에 조율이 끝나면 후보자 선정에 들어간다. 일종의 예비 선정으로 간단한 신상 정보만으로 후보자를 추리는 과정이다. 이 때 만들어지는 후보자 명단을 롱 리스트(long list)라 부르는데 많으면 수십명까지 등록된다. 후보자의 이직 의사는 포함되지 않은 단계로 후보자의 범위를 줄이는 단계라 볼 수 있다. 롱 리스트는 헤드헌팅사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할 수도 있고 업계 사람들을 직접 만나 추천을 받을 수도 있다.

롱 리스트를 바탕으로 의뢰사는 후보자를 좁힌다. 의뢰사의 정보를 공개하고 이력서를 받는 등 이직 협상을 벌이고 싶은 이들을 추리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명단을 숏 리스트(short list)라 부른다.


임원이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평판조회다. 통상 평판조회는 숏 리스트 작성 전후로 이뤄진다. 겉으로 드러난 후보자의 능력이 아닌, 내면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평판조회는 리더십, 관리능력, 성격, 도덕성 등 다방면으로 이뤄지는데 임원에게 가장 중요한 건 도덕성이다. 아무리 개인능력이 뛰어나도 도덕적인 부분에서 결점이 발견되면 이직은 어렵다고 봐야 한다.


평판조회까지 무사히 넘기면 의뢰사와 후보자 간의 만남이 기다린다. 미팅, 인터뷰 등을 통해 서로의 의사를 확인하고 연봉 등 조건을 조율한다. 조율까지 끝나면 후보자가 기존 직장을 정리하고 옮겨오는 것으로 임원이직은 마무리된다.


임원이직은 일반사원 이직과 달리 기간이 오래 걸린다. 롱 리스트 작성까지 보통 2주가 걸리고 숏 리스트 검토에도 통상 1주일이 소요된다. 이후 이력서 검증, 인터뷰 등을 거쳐 최종 계약까지 가려면 2~3개월이 기본이다. 길게는 1년까지 걸리는 경우도 있다. 이직 의사를 밝혔어도 이전 직장이 만류해 기간이 길어지기도 한다. 한 기술연구원의 C원장은 이직 계약에 사인까지 했는데도 연구원이 놔주지 않아 곤란을 겪은 경우다. 연구원은 퇴사 의사를 밝힌 그에게 월급을 주고 법인카드까지 새로 발급해줬다. 결국 C원장은 일본으로 건너가 6개월 가량 머문 후에야 이직에 성공할 수 있었다.


◆소극적 No, 적극적 OK=한 중공업 회사의 D상무는 소극적인 태도로 좋은 이직 기회를 놓친 경우다. D상무는 다른 회사로부터 더 좋은 조건으로 옮겨오라는 제의를 받았다. 제안을 전한 헤드헌팅사는 여러 루트를 통해 확인한 결과 D상무의 승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D상무는 승진 시기인 연말까지 기다려보겠다고 완곡히 거절했다. 결과는 승진 탈락이었다. D상무는 그제서야 헤드헌팅사에 다시 연락했지만 다른 인재로 자리가 채워진 후였다.


이직을 원하는 임원이라면 적극적이어야 한다. 서혜진 커리어케어 수석컨설턴트는 "의외로 도전에 소극적인 임원들이 많다"며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도 이직에 성공할 수 있는 길은 없다"고 말했다. 이직에 소극적인 임원은 최종 계약이 이뤄지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회사를 옮긴 후 맞이할 낯선 환경을 꺼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세상에 공짜는 없는 만큼 성공적인 이직을 원한다면 어느 정도 부담은 감수할 필요가 있다. 서 컨설턴트는 "좋은 기회라는 판단이 섰다면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해선 안 된다"며 "얼굴도 맞대지 않은 이를 임원으로 데려올 회사는 어디에서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항상 준비하자='1978년 XX건설 입사. 2011년 현재 재직 중'. E헤드헌팅사는 한 후보자로부터 받은 이력서를 보고 경악할 수밖에 없었다. 업계에서 두루 소문난 실력자였음에도 그의 이력서는 단 두 줄이었던 것.


준비된 자가 성공한다는 진리는 임원이직에도 적용된다. 성공적인 이직을 원한다면 평소 준비해야 한다. 임원들은 보통 자신감에 충만해 자신에 대해 서술하는 데 서툰 경우가 많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서 컨설턴트는 "업계서 알아줄 것이라 생각하면 곤란하다"며 "자신의 강점이 뭔지, 내세울 게 뭔지 꾸준히 업데이트하고 미리 이력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통상 임원들은 다니던 회사를 퇴직한 후에야 이직을 준비한다. 그러나 퇴직 후 공백이 길어질수록 이직시장에서는 가치가 떨어진다. 퇴직 후 준비하면 이미 늦은 것이다. 서 컨설턴트는 "임원이직은 자리도 많지 않거니와 항상 열려 있는 게 아니다"며 "항상 정보에 귀를 열고 미리 준비하겠다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일단 이직을 신청했다면 조력자를 찾아 관련 정보를 얻는 것도 필수다. 예컨대 자신이 지원한 회사가 어떤 분야에 약한지를 알고 있다면 그 분야에 강함을 내세울 수도 있다. 최근 이직에 성공한 F임원도 그런 경우다. 그와 면접을 본 회사는 북미 쪽 영업이 취약했다. F씨는 면접 때 자신이 북미 영업에 자신 있다는 점을 강조했고 결국 성공할 수 있었다.




이승종 기자 hanaru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