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중수 한은 총재 "물가에 중점"…금리인상 강력 시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김중수 한은 총재 "물가에 중점"…금리인상 강력 시사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AD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를 가장 높은 가치로 생각하고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혀, 10일 열릴 3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 총재는 9일 임시국회 업무보고에서 "물가 안정을 가장 높은 가치로 생각한다"며 "물가를 책임지고 있는 기관으로서 물가가 높아진 것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앞으로 분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박근혜 한나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이같이 답하고 "성장과 고용과 물가는 경제정책에서 조화를 이뤄야 하는 세 가지이지만, 그 중 하나도 잃기는 어렵다"면서도 "물가를 담당하는 입장에서 물가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만, 정책 조화도 유념하겠다"고 말했다.


통화정책에 있어 세 가지 요소를 모두 고려하되 물가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또 김 총재에 따르면 지난 1, 2월 물가가 4% 중반을 기록한 데 이어, 3월 물가도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추산돼 금리를 인상할 여지가 한층 커졌다.


김 총재는 이혜훈 한나라당 의원의 질문에 "유가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단언할 수 없지만 지금 수준으로 갈 것"이라며 "3월 물가도 2월 수준에서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소비자물가는 4.5%로 지난 2008년 11월(4.5%) 이후 2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은의 물가목표 수준이 3%±1%임을 감안하면,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금리인상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은은 이날 업무보고에서도 "물가안정기조를 확고히 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밝혀 금리인상을 시사한 바 있다.


금리 인상시 800조에 육박하는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지만, 김 총재는 '미시적 수준'의 정책으로 대처하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권경석 한나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영국을 제외한 어느 국가보다도 높지만, 소득분위별로 보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는 가계부채 비중이 높지 않은 반면 소득이 높은 분위에서 빚을 많이 지고 있다"며 "미시적 수준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