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윤부근 사장 "70년된 편광식이 차세대 3D? 어이없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윤부근 삼성전자 사장(사진)이 경쟁사의 차세대 편광방식 3DTV 주장에 대해 "1930년대 나온 방식을 가지고 차세대 논쟁을 벌이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부근 사장 "70년된 편광식이 차세대 3D? 어이없다"(종합)
AD

또 "삼성의 액티브 셔터글라스방식과 경쟁사의 패시브 방식 3DTV 선택은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최종적으로 내릴 것이고 연말 판매량이 증명해 줄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윤 사장은 17일 삼성디지털시티 디지털미디어 연구소에서 '2011년 스마트TV 신제품 발표회'를 가진 자리에서 편광방식은 풀HD 영상 구현이 불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사장은 "경쟁사의 경우 IPS패널은 셔터글라스방식에 적합하지 않아 결국 패시브 방식으로 갈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근본적인 기술 문제로 패시브 방식을 선택하면서 차세대 기술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이미 블루레이디스크 어소세이션(BDA)가 풀HD영상 구현이 가능한 셔터글라스방식을 표준으로 인정했다고 강조했다.


윤 사장은 이어 “셔터글라스방식의 약점은 깜박거림이나 안경의 불편함을 이번에 크게 개선했다”며 “2012년부터 풀HD영상이 본격적으로 방송되는데 이를 즐길 수 없는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있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더욱이 경쟁사가 3D안경의 인체유해성을 거론하는 것에 대해 “3D안경에서 나오는 전파는 휴대전화의 600분의 1에 불과하다”며 “휴대전화나 헤드폰을 쓰는 사람들은 어떻게 건강을 지킬 수 있냐”고 반문했다.


이에 따라 윤 사장은 "편광방식은 중국의 몇 개 회사와 유럽 1개사 정도가 적용하고 있는데 이들 역시도 소형 스크린에만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윤 사장은 "과거 삼성이 엣지LEDTV를 출시했을 때 풀LED가 아니라고 비난을 받았지만 결국 판매량에서 엣지형의 승리로 결판났다"며 "3D방식도 표준화, 차세대 논쟁이 아니라 소비자의 선택을 많이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 사장은 올해 LCD TV 1800만대, LED TV 2200만대, PDPTV 500만대 등 총 4500만대의 평판TV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