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복지부 "지역 맞춤형 복지서비스에 1353억 지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정부가 지역주민에게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동발달지원, 돌봄여행 등 다양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1353억원을 지원한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1100억원보다 253억원 증가한 금액이다.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중앙정부가 전국을 대상으로 일괄 실시하는 국가주도형 서비스 제공방식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과 주민 수요에 맞는 사회서브시를 자체적으로 발굴·기획하는 사업을 말한다. 수요자가 바우처를 지급받은 후 원하는 서비스 제공기관을 선택하는 수요자 중심인 셈이다. 지난 2007년 8월 시작해 지난해 519개 사업이 실시됐으며, 31만명에게 혜택이 돌아갔다.


복지부는 지난해까지 진행되던 519개 사업에 1149억원을, 공모를 통해 올해 새롭게 선정한 204개 사업에 204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중 잠재수요가 크고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10대 유망사회서비스에 193억원을 중점 지원한다.

10대 유망사회서비스는 ▲아동발달지원서비스 ▲취약계층아동 정서발달지원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 ▲인터넷게임중독아동 치료서비스 ▲맞춤형 운동처방서비스 ▲장애인·노인 돌봄여행서비스 ▲장애인보조기구 렌탈서비스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나홀로아동 가정 돌봄서비스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스 ▲자살고위험군 건강관리서비스 등이다.


신규 사업은 지자체의 서비스 제공기관 선정 등을 거친 후 다음 달부터 실시된다.


전국가구 평균소득 100%이하(4인가족 월 415만5000원)인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본인이나 가족이 읍·면·동사무소에 신청하면 된다. 단 장애인·노인 대상 사업은 전국가구 평균소득 120% 이하도 가능하고 아동건강관리서비스와 장애아동휠체어렌탈서비스는 소득기준에 제한이 없다.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각 시·군·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는 사회서비스 바우처 포탈사이트(http://www.socialservice.o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올해 지역개발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통해 연간 약 35만명이 서비스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1만6000개 일자리에 2000개 내외의 일자리가 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