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림청, 2월부터 ‘산불방지 비상체제’ 가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월엔 소각금지기간으로 특별대책…감시인력 2만5000명 활동, 첨단시스템 도입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산림청이 다음 달부터 ‘산불방지 비상체제’를 가동한다.


산림청은 2월1일부터 5월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해 비상근무에 들어간다.

◆‘산불특별대책기간’ 운영=특히 산불위험이 가장 높은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를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잡아 산림행정력을 산불방지에 쏟는다.


산림청은 산불 감시 인력을 한해 고용인원의 80%까지 늘려 이 기간 중 2만5000명을 운영할 예정이다. 감시 인력의 근무시간도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 탄력운용한다.

지난해 산불을 빨리 신고해 큰 성과를 올렸던 ‘산불신고 GPS(위치확인장치)단말기’는 통화와 문자를 보낼 수 있는 등 성능이 나아졌다. 산림청은 이 단말기를 지난해(9000대)보다 6000대 많은 1만4000대를 전국에 보급한다.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국 산불상황을 보고 받는 산림청과 시·도 산불상황실은 진화여건을 파악, 곧바로 초동진화에 나선다.


지난해 처음 ‘논·밭두렁 소각금지기간’을 잡아 효과를 본 산림청은 올해도 산불위험이 가장 높은 3~4월에 ‘소각금지기간’을 운영한다.


이에 앞서 다음 달 말까지 ‘산림인화물질 제거 계획’을 마련, 읍·면 및 국유림관리소 단위로 10명 안팎의 제거반을 둬 인화물질 없애기에 나선다.


산림헬기는 산불조심기간 중 가동률이 90% 이상이 되게 하고 산불위험지역에 이동배치, 현장 도착시간을 앞당길 계획이다.


◆산불끄는 헬기 효율적 가동=지방자치단체가 운용하는 임차헬기는 광역단위로 운영해 인접 시·도, 시·군간 산불끄기에 함께 나선다. 물탱크가 달린 군 산림헬기 7대는 사격장 산불, 일반산불에 대비해 출동태세를 갖춘다. 담수지, 하천 등 헬기진화 취수원이 얼 것에 대비, 담수지 현황도 수시로 파악해 관리키로 했다.


GPS기능이 있는 ‘헬기 안전운항정보시스템’도 본격 운영돼 헬기안전운항과 산불진화 효율을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이 시스템은 지난해 가을 시험운영 때 큰 효과를 봤다.


산림청은 산불원인을 없애고 가해자를 잡는 데도 힘을 쏟을 방침이다. 전국에 22개 산불전문조사반을 운영, 불이 나면 현장으로 달려가 산불원인을 없애고 가해자 잡기에 힘쓸 방침이다.


대형 산불이 났을 땐 산림청 국장급 이상 공무원으로 이뤄진 ‘산불현장지원단’을 보내 산불현장 통합지휘를 돕는 등 산불현장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남균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헬기가 늘고 산불상황관리의 과학화·첨단화로 산불대응력이 크게 높아졌지만 올봄 강수량이 예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보되고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방제작업이 산불철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산불대응력 약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따라서 소중한 산림을 산불로부터 지키기 위해 국민들께서 산불예방과 감시활동에 적극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