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주장에 정부는 ‘평가로 결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대전 충남북 단체장, 국회의원 등 충청권 추진협의회 17일 출범… “대통령 공약은 지켜야”주장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충청권 추진협의회’(이하 추진협의회)가 17일 오후 발대식과 함께 공식활동에 들어갔다.


이날 염홍철 대전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등 충청권 3개 광역단체장과 충청권 국회의원, 세종시 인근 자치단체, 경제·과학계, 시도의회, 시민단체 등 참석자 70여명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대통령선거공약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국가사업이란 점에 공감하고 반드시 충청권에 입지되도록 한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과학벨트는 세종시와 대덕연구개발특구, 충북 오송·오창의 BT(생명기술)·IT(정보통신) 산업단지를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발전시켜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키우겠다는 건 이명박 대통령의 지난 대선 충청권 핵심공약사항”이라고 밝혔다.


또 “과학벨트 입지는 충청권이 최적지임을 확신하며 기초과학 발전은 물론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충청권에 조성되도록 신명을 다할 것임을 천명한다”고 결의했다.

추진협의회는 이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충청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를 위해 충청권 유치를 위한 당위성 개발과 이를 중앙정부에 전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위해 충청권 3개 시·도는 오는 3월까지 산하 연구원에 평가항목별 논리와 타당성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한다.


충청권의 이런 움직임은 정부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주요 시설인 중이온가속기를 경북지역으로 배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청와대 임기철 비서관이 ‘공약을 취소한다’는 말을 하면서 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행동으로 이해된다.


이와 관련, 정부는 지금까지 공모가 아닌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한 정부의 평가로 입지가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단 관계자는 “추진단에서 국책연구소를 통해 평가해 지정절차를 밟으며 2년이 늦어져 올 상반기 중 입지선정을 끝낼 계획”이라고 멀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