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닥터챔프' 박지헌의 무릎 부상, 그 치료 방법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스포츠투데이 이종길 기자]박지헌의 태릉선수촌 재 입성은 가능할까.


지난 19일 방송된 SBS 월화드라마 ‘닥터챔프.’ 유도 국가대표 박지헌(정겨운 분)은 무릎부상을 이유로 선수촌에서 퇴출당하는 수모를 겪는다. 주치의 김연우(김소연 분)는 그를 위해 재활프로그램을 마련한다. 그렇다면 그 치료 과정은 실제로 어떻게 진행될까.

분당 바른세상병원 서동원 원장은 ‘내측인대파열 6주 진단’이라는 판단 아래 이에 대한 소견을 밝혔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박지헌이 당한 정확한 부상 명칭은 ‘내측인대파열’다. 무릎의 안쪽인대가 늘어나면서 발생한다. 내측인대 파열이 발생하면 무릎을 펴고 구부리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격렬한 운동이 불가피한 운동선수에게는 치명적인 부상인 셈이다.


운동선수의 경우 부상기간 무릎이 굳어지거나 근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재활프로그램으로 완치가 가능하다.

인대 파열은 인대가 다시 정상적으로 회복될 때까지 부상 부위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허벅지안쪽근육인 내측관근을 중심으로 무릎안쪽에 위치한 내측인대를 함께 강화하는 재활운동이 절실한 셈.


이는 먼저 다관절근력측정검사를 통해 무릎앞쪽 근육인 힌근(펴주는 근육)과 허벅지근육인 굵은근육(굽혀주는 근육)의 근력을 측정한다. 내측인대가 늘어난 상태이므로 인대가 끊어지지 않게 2~3주 안정기간을 갖는다. 휴식기에는 무릎을 펴고 고정된 상태로 아이소매트릭을 통해 무릎근력이 약해지지 않게 잡아준다. 이후 앞뒤로 움직이는 아이소메틱과 중량을 달고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아이소토닉으로 내측인대를 단련시킨다.


어느 정도 인대가 회복되면 재활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한다. 6주 이후에 자신의 체중을 그대로 싣는 플라이오 매트릭트레이닝으로 재활운동을 마친다.


충분하게 근력을 회복한 뒤라도 안심은 금물이다. 서 원장은 “통증이 없더라도 스포츠전용 보호대와 테이핑 테이프로 무릎을 고정시키면 부상에 대한 부담을 줄여줘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스포츠투데이 이종길 기자 leemean@
<ⓒ아시아경제 & 재밌는 뉴스, 즐거운 하루 "스포츠투데이(stoo.com)">

이종길 기자 leemea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