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영암 F1] 숫자로 본 F1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25초

[영암 F1] 숫자로 본 F1
AD


[아시아경제 지선호 기자]
◆0.078= F1 경주차가 1마력의 힘을 내는데 필요한 연료의 양이 0.078리터다. 양산차의 경우 1 마력에 0.09리터 이상의 기름을 먹는다. 포뮬러원 엔진이 일반 엔진보다 20% 정도 효율성이 좋다는 이야기다. 이 같은 고효율 기술은 양산차로 전이되어 환경보호에 지대한 역할을 해왔다.

◆1.6= F1 머신이 달릴 때는 항공기와 반대로 공기가 차체를 아래로 내리 누르는 힘이 생긴다. 이를 다운포스라 한다. 시속 350km로 달려 다운포스가 생길 때 앞바퀴에 걸리는 무게는 1.6톤에 달한다. 뒷부분에는 1.1톤의 다운포스가 작용한다.


◆1.9= F1 머신이 시속 200km로 달리다 완전히 정지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단 1.9초다. 이때의 필요 제동거리는 55m. 드라이버가 느끼는 압력은 5g이다. 드라이버가 안전띠를 통해 느끼는 압력이 자신의 몸무게의 다섯 배라는 의미이다. F1 머신이 제동할 때 브레이크 디스크는 800도까지 온도가 수직 상승한다.

◆2.4= F1 머신이 정지상태에서 출발해 시속 100km까지 속도를 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2.4초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200km까지는 5초가 소요되며 거리상으로는 140m에 지나지 않는다. 만약 가능하다면 당신의 승용차로 시속 200km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 거리가 필요할지 상상해 보라.


◆2.9= F1 피트 크루들이 경주차의 타이어 4개를 새것으로 바꾸는데 걸리는 시간. 단 2.9초만에 이 작업을 끝내는 장면은 F1의 진기한 볼거리다. 하지만 주유를 하는 데는 7~12초가 걸린다. 참고로 F1에 쓰이는 특수 주유장치는 1초당 12.5리터의 휘발유를 머신에 쏟아 부을 수 있다.


◆24= F1팀이 레이스 현장에서 동시에 지켜보는 모니터의 수. FOM이 실시간 제공하는 랩타임, 기상 및 뉴스 채널, 서킷 지도, 텔레메트리 데이타, 이외에도 피트 스톱 및 레이스 전략 수립을 위한 팀 자체 위치 추적 시스템 화면이 별도로 있고, 다른 팀들의 랩타임, 피트 스톱 시간, 타이어 관련 정보들도 알 수 있다. 통신은 총 6개의 라디오 채널과 7개의 인터콤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팀과 머신간의 교신은 반드시 FIA가 접근 가능하게끔 개방되어야 한다.


◆50= 경기 중 F1 운전석의 온도는 무려 50도에 이른다. 경기를 한번 치르고 나면 땀으로 2리터 정도의 수분이 배출된다. 이는 테니스 선수가 풀세트 접전을 펼쳤을 때의 체력소모와 같은 수준이다.


◆60= 고성능 파워의 포뮬러원 엔진을 제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60시간이다. 가장 재미있는 것은 무게 대 마력의 비율이다. 양산차가 1kg당 0.09마력인데 비해 포뮬러원 머신은 1kg당 1.5마력이다.


◆80= 한 경기에 투입되는 팀원의 숫자. 유럽 이외의 대륙에서 열리는 경기에는 20명 정도가 더 줄어든다. F1팀은 보통 6000명 정도의 인원으로 구성된다. 80명은 단지 현장에 나와 있는 빙산의 일각을 뿐이다.


◆100= F1 머신이 빠른 속도로 달릴 때 타이어가 달구어지는 최대 온도. 물을 끓일 수 있을 정도의 열이다. F1 타이어의 적정 온도는 대략 90도 정도로 더 온도가 낮아도 제 성능을 내지 못한다. 그래서 레이스 출발 직전에는 타이어 워머라고 불리는 일종의 전기장판을 타이어에 감아둔다.

[영암 F1] 숫자로 본 F1 시즌 12라운드 헝가리 그랑프리 주행 장면(레드볼 레이싱 제공).


◆120= F1 1개팀이 매 그랑프리 마다 먹어 치우는 과일의 무게는 100kg이다. F1팀들은 해외경기에 약 32톤의 항공화물을 수송하는데 그 가운데 과일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주방은 팀원들과 손님들에게 식음료를 제공하느라 항상 분주하다. 지난 해 경우 각 그랑프리 때마다 1개 팀이 평균 육류 140kg, 생선 100kg, 과일 120kg, 야채 90kg, 치즈 40kg, 달걀 1,000개, 빵 1,800개, 물과 음료수 2,500리터를 소비했다.


◆500= F1 머신의 카본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는 최소 작동 온도가 섭씨 500~650도다. 브레이크를 걸 땐 1,000도이상 올라간다. KERS로 80마력의 힘을 만들 수 있는 이유다.


◆600= 규정에 따르면 포뮬러원 머신은 드라이버의 몸무게와 합쳐 600kg 이상이어야 한다. 여기에 연료를 채우면 전체 중량이 700kg에 달한다. 신소재를 사용하는 F1 머신은 워낙 가볍기 때문에 규정된 무게를 맞추기 위해 차 아래 부분에 별도의 무게추(평균 100kg)를 달기도 한다. 무게추와 드라이버의 몸무게를 빼면 머신의 공차 중량은 400kg 정도라는 이야기다. 양산차의 무게는 1,500kg가 넘는다.


◆700= 하나의 그랑프리에서 소모되는 타이어의 개수. 타이어 공급업체는 두 종류의 성격이 다른 타이어를 제공하며 비가 올 때에 대비한 레인 타이어도 분비한다. 따라서 대략 3,000개에서 4,000개 정도의 타이어가 필요하다.


◆750= 포뮬러원 머신의 엔젠 출력은 750마력이다. 한 마디로 말 750마리에 해당하는 힘이다. F1 머신의 배기량은 2.4리터로 국산 승용차 쏘나타와 같다. 쏘나타는 같은 크기 엔진으로 179마력밖에 내지 못한다.


◆1,500= F1 엔진의 사용 거리다. 하나의 엔진으로 1,500km 정도밖에 달리지 못한다. 각 팀들은 한 시즌을 소화하기 위해 연간 100개 정도의 엔진을 필요로 한다.


◆1,600= 한 그랑프리에서 1개 팀이 소모하는 연료의 양. 테스트카를 포함 한 개 대회에서 2~3대가 이 정도의 연료를 사용한다. 양산차의 경우 이 정도 연료로 1년을 넘게 달릴 수 있다. 연료 외에도 1년에 160리터의 엔진오일과 60리터의 트랜스미션 오일이 별도로 필요하다.


◆1,800= F1 드라이버가 쓰는 헬멧의 규정 무게는 1,800g이다. 드라이버의 헬멧은 특별한 안전규정을 통과해야 한다. 머신이나 레이싱 슈트가 팀의 스폰서에 의해 디자인되는 것과 달리 헬멧은 드라이버의 개인 취향이 반영된다. 따라서 팬들은 헬멧만 보고도 드라이버가 누구인지 알 수 있다.


◆3,500= 포뮬러원 머신을 만드는데 필요한 도면의 수. F1 머신은 신기술의 집약체다. 머신을 도안하는 데는 3,500여 개의 도면이 작성된다. 엔진 하나에만 300개의 부품이 맞물린다. 양산차의 설계 및 제작과정에 수년이 걸리는 데 반해 불과 수개월 안에 이런 복잡한 작업을 마무리하는 일은 거의 기적과 같다.


◆10,000,000,000= F1머신의 추정가격이다. 시판제품이 아니라 공식 가격은 없지만 부품값을 다 해보면 대략 1대당 100억원 정도의 제작비용이 든다. 포뮬러원은 스포츠 종목 중 가장 비싼 스포츠임에는 틀림없다. 엔진의 개당 가격은 4억5,000만원, 차체는 1억3,0000만원 정도다. 기어박스는 1억3,000만원, 심지어 핸들(스티어링 휠)의 가격도 3,000만원 이상이다.




지선호 기자 likemo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