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상반기 대형마트 소비 트렌드는 '대한민국~'

이마트, 대안상품·한파효과·민간소비회복 등 돋보여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올 상반기 대형마트의 소비 트렌드가 '대(代, 대안상품)', '한(寒, 한파효과)', 민(民, 민간소비회복)', '국(國, 국외상품)'이라는 4가지 키워드로 요약됐다.


8일 신세계 이마트가 올 들어 6일까지 전국 127개 점포, 1억2500만명의 소비자에게 판매한 2593가지 상품군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이 완연한 경기 회복세를 체감하면서 자기 만족을 위한 가치소비를 크게 늘렸지만 장기 불황 속에서 합리적인 소비에 대한 학습효과를 터득한 탓에 이왕이면 저렴한 '가격 대안상품'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마트의 경우 신가격정책의 주요 품목이었던 삼겹살 매출이 상반기에만 무려 220.1% 증가하며 브랜드 삼겹살 매출 신장률 9.8%, 앞다리살 매출 19.6%를 크게 압도했다. 같은 기간 쇠고기 매출은 10.2% 증가하는데 그쳤다.


신가격정책에 따라 올해 초부터 990원에 판매중인 국산 선동오징어도 같은 기간 155.2%의 신장률을 보이며 오징어 전체 상품 신장률을 30%로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했다.

'맥심모카골드(250입)' 역시 매출이 105.3% 증가하며 전체 커피믹스 매출 10.9%와 큰 차이를 보이는 등 소비자들은 경기회복 국면에서도 가격 대안상품을 찾는 실속형 소비를 보였다.


이와 함께 4월까지 계속된 '이상저온 현상'으로 국민들의 식탁이 확 바뀌면서 국민 생선으로 꼽히는 갈치나 고등어, 국내산 과일 대신 저장생선과 수입과일이 밥상을 차지했다.


올 상반기 이마트의 갈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5.3%, 생고등어 역시 28.4% 줄어든 반면 자반고등어 매출은 20.5%, 가자미와 동태포 등 반건생선은 11.1% 늘어나는 등 날씨의 영향을 덜 받는 저장성 생선의 매출이 15.7%나 늘었다.


또 캐나다산 랍스터, 베트남 블랙타이거 새우, 러시아 킹크랩 등 해외소싱 상품이 대부분인 갑각류 매출이 47.7% 증가했고, 과일 중에서도 수입오렌지와 수입포도 매출이 각각 132.4%, 52.3% 증가했다.


이마트는 또 올 상반기 민간소비 회복으로 고가 LED TV 등의 가전제품과 레저용품, 설 선물세트 등 경기회복의 바로미터가 되는 상품군의 매출이 급등하고 동시에 국외상품 선호 트렌드에 따라 값싸고 품질 좋은 해외소싱 신선·가공식품, 의류와 잡화 등이 소비를 주도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마트 마케팅 담당 장중호 상무는 "올 상반기에는 경기회복의 청신호가 실질 가계지출 증가로 나타나면서 내구재나 웰빙상품, 레저용품 등 자기만족을 위한 가치소비 추세가 뚜렷이 나타났다"며 "특히 가치추구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 속에서 이왕이면 저렴한 상품을 선호하는 실속형 소비와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춘 해외소싱 상품에 대한 관심 증가 등 합리적인 소비도 돋보였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조인경 기자 ikj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