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李대통령, '서울 G20 정상회의' 3대 기본방향 제시

28일 다보스포럼 단독특별연설..."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논의"

[취리히(스위스)=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스위스를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현지시각 28일 오전 다보스포럼 단독특별연설을 통해 ▲ G20 합의사항 철저 이행 ▲ 국제 개발격차 해소와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 비회원국과 민간분야로 G20 외연확대 등 오는 11월 서울 G20정상회의의 3대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다보스포럼 주행사장인 콩그레스 센터에서 '서울 G20 정상회의, 주요 과제와 도전'이라는 주제의 연설을 통해 G20 의장국이자 개최국 정상 자격으로 G20 서울 정상회의의 비전과 운영방향을 설명하면서 이같은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우선 G20합의사항의 철저한 이행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9월 피츠버그 G20 정상회의까지 합의된 강하고 지속가능하며 균형된 성장을 위한 프레임 워크를 철저히 이행한다는 것. 또한 금융규제와 감독체제 보강, IMF(국제통화기금) 쿼터 조정 등 국제금융기구 지배구조 개선 등을 포함한 국제금융시스템 강화와 보호무역주의 저지 등 세계화의 장점을 살리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도 밝힐 방침이다.


이어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한국의 경제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개도국과 신흥국에 대한 아젠다를 개발해 국제 개발격차 해소에 앞장설 것이라는 입장도 밝힌다. 특히 선진국과 개도국의 가교역할을 위한 글로벌 금융안정망 구축도 주요 의제로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G20이 비회원국 및 민간부문에 대한 외연확대(outreach)에 적극 나설 것이라는 입장도 밝힐 방침이다. G20에 참여하지 못한 세계 170여개 국가들의 목소리를 G20 프로세스에 반영하고 11월 서울 G20 정상회의 개최 이전에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서밋을 개최해 일자리 창출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기업가 정신 고취의 기회로 삼겠다는 것.


이 대통령은 이와 관련, 세계경제 회복세는 정부 주도의 공공부문 수요에 크게 의존한 것으로 민간소비와 투자 확산이 중요하다면서 기업가들의 창의적 도전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출구전략도 각국이 경기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보스포럼 특별연설은 매년 그해 주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 주요 국가 지도자들에게 기회가 주어진다. 올해 연례회의에는 개막연설과 한국, 중국, 캐나다, 브라질 등 4개국의 단독특별연설이 기획됐다. 다보스포럼을 주관하는 클라우스 슈밥 WEF 회장은 '다시 생각하고 다시 설계하고 다시 구축한다'는 올해 주제와 관련, 세계지배구조 변화에 대한 G20의 영향력을 강조하며 이 대통령을 주빈 자격으로 초대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단독연설에 이어 다보스 체류 1박 2일 동안 20여개 가까운 일정을 소화한다. 스위스, 스페인, 캐나다, 요르단, 이스라엘 등 5개국과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물론 슈밥 WEF 회장, 도미니크 바튼 맥킨지 회장, 빌 게이츠 전 MS 회장, 존 챔버스 시스코 회장, 피터 로셔 지멘스 회장 등 글로벌 경제리더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아울러 영국 BBC방송과 인터뷰를 갖는 것은 물론 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하는 '코리아 나이트(Korea Night) 2010' 행사에 참석, 세계 각국의 정치, 경제 리더들을 대상으로 한국을 홍보하는 세일즈에도 나선다.

[성공투자 파트너]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선착순 경품제공 이벤트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