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외건설] MB 아프리카서 패키지 사업 수주한다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이명박 대통령 등 정부 고위급 인사의 아프리카 등 해외건설 수주 전초지의 방문이 잦아질 전망이다. 정부가 이들 나라와의 정상회담시 해외 건설 수주를 논의키로 정했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는 15일 해외건설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며 해외 건설사업에 진출하는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정상회담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정부는 플랜트나 아파트 등을 지어주고 광물, 석유 등의 자원으로 대가를 지불받는 패키지형 사업이나 대형 해외개발 사업을 적극 수주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아프리카 국가 중 경제·사회개발계획 수립시 발전모델로 한국을 상정하는 경우가 많아, 정부간 협의채널을 통해 협력수요를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을 롤모델로 잡은 나라는 아부다비, 오만, 카타르, 사우디 등이다.

정부는 발굴된 협력가능 대상사업들을 이들 나라들과 함께 경제공동위(한-UAE, 한-쿠웨이트 등), 한-아프리카 경제협력회의(KOAFEC)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이후 상대 국가의 수요가 확인되면 정상회담을 통해 이들 사업에 대한 수주를 적극 지원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기업들의 수주가 더욱 용이해질 것이며 수주 후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책임 소재도 분명히 가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정부는 민관합동 시장개척단을 파견(10회)하고 로드쇼를 개최(7회)한다. 이어 고위급 면담, 양자간 협의회 개최 등으로 민·관 글로벌 해외건설 마케팅을 강화한다.


현장 수주지원 서비스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공관의 의견을 반영해 국토해양관을 재배치하고 해외건설협회는 잠재력이 높은 주요 거점지역에 민간 해외건설 연락관 등 보강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패키지 사업 및 대규모 개발사업의 경우 상대국가나 공기업에서 발주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적으로 상대해 수주한다는 의미"라며 "미개척지의 개발이 더욱 탄력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06년 노무현 대통령이 알제리를 방문한 이후 신도시 개발 사업을 대거 우리나라 기업들이 수주했으며 이명박 대통령도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해 원전사업을 수주하는 데 큰 힘이 됐다"고 설명했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