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년 생활물가지수 상승률 2.1%.. '역대 최저'

농축수산물 대상 '신선식품지수'는 7.5% 급등.. 2004년 이래 최고치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소비자들의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이 지난해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축수산물을 대상으로 하는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은 200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5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대비 2.1% 오르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6년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생활물가지수’란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자주 많이 구입하는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된 소비자물가지수의 보조지표로, 전체 489개 소비자물가 조사 품목 가운데, 쌀, 배추, 쇠고기 등 152개 품목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1996년 전년대비 6.0%였던 생활물가지수는 1998년 11.1%까지 올랐다가 1999년 2.4%로 떨어졌으며, 이후 ▲2000년 3.7% ▲2001년 5.1% ▲2002년 2.5% ▲2003년 4.0% ▲2004년 4.9% ▲2005년 4.1% ▲2006년 3.1% ▲2007년 3.1% 등으로 등락을 반복해오다 2008년엔 ‘고(高)유가’ 등의 영향으로 5.4%까지 오른바 있다.

지난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이 낮은 것은 전년도의 높은 상승률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지난해 국제유가가 떨어지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 억제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휘발유(-6.0%)와 경유(-13.0%), 등유(-21.5%), 자동차용 LPG(-17.4%), 취사용 LPG (-12.7%) 등 석유 관련 제품은 지난해에 전년보다 10% 이상 가격이 하락했고, 2008년에 전년대비 4.7%를 기록했던 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8%로 떨어지며 안정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난해 농축수산물 가격은 ▲연초 원-달러 환율 상승과 ▲재배면적 축소 및 어획량 감소 등의 공급충격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확대 등에 따른 국산축산물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강세를 나타내냈으며, 그 결과 생선, 채소, 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1개 품목을 대상으로 하는 신선식품지수도 1년 전에 비해 7.5%나 급등하며 2004년의 8.0% 이후 5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오렌지(28.3%), 가자미(15.7%), 생선회(3.6%)가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명태(37.1%), 굴(25.1%), 피망(30.7%), 귤(37.9%), 바나나(24.4%), 생강(73.5%) 등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에 대해 재정부 관계자는 “농축수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해선 수요·공급관리가 중요하다”며 “주요 농산물 등에 대한 중기 관측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수급상황 정보를 생산자들에게 3~6개월 전에 미리 제공해 재배 면적 등을 사전에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