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말은 주로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사용돼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과학부문에서도 이 말이 통용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과학 선진국들과의 경쟁에서 국내 연구성과를 토대로 선전을 거듭하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최근 국내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의 성과를 인정받아 요르단 원자로 국제입찰에서 최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 등 주요 선진국들이 참여하는 ITER(국제핵융합실험로)사업에서 우리나라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도 지난 9월 본격 가동하기 시작한 국내의 핵융합 실험로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의 독보적 성과가 지렛대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첫 원자력 수출 이끈 '하나로'
지난 4일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요르단의 원자로 건설 사업을 수주함에 따라 미래의 '원전 수출국가'로 첫 발을 내딛게 된 것은 한국 과학계의 쾌거라 할만하다. 아르헨티나, 중국, 러시아 등 세계 원자로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주요 국가들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다목적 연구로인 '하나로(HANARO)'를 자력으로 설계ㆍ건설ㆍ운영한 경험과 기술력이 통했기 때문이다.
$pos="C";$title="";$txt="하나로";$size="439,292,0";$no="2009120810201527788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하나로'는 934억원이 투입된 열출력 30MW의 세계 10위권 고성능 연구용 원자로로, 지난 1995년 완공됐다. 이어 동위원소 및 방사성의약품 제조시설 등을 갖췄고 지난해 4월에는 운전 2000일을 돌파했다.
관련 전문가들은 '하나로'의 안정적인 시설 운영 경험이 원자로 수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원자력연구원 양명승 원장은 "지난 11월 방한한 요르단 실사단이 하나로를 보고 우리의 기술력을 인정했다"고 전했다. '하나로'의 기술과 경험이 우리나라가 세계 원자로 시장의 강자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pos="C";$title="";$txt="하나로";$size="439,292,0";$no="2009120810201527788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연구용 원자로 세계 시장에 본격 진출할 경우, 열출력 20 MW 기준으로 1기 수주 당 2000억~3000억 원의 실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15년간 약 50기의 연구로가 국제시장에서 조달될 것으로 예상돼 10조~20조 원의 시장이 열리는 셈"이라고 말했다.
'하나로'의 '힘'은 요르단 수출 외에도 그리스 연구로 1차 냉각계통 개선 사업 참여, 태국 연구로 계측제어계통 교체 사업 참여 등에서도 이미 입증됐다.
◆ITER 주도권 확보한 KSTAR
국내 핵융합실험로인 'KSTAR' 역시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 사업에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확보하는 발판이 되고 있다. 이경수 국가핵융합연구소장은 "불과 십 수년 전만 해도 핵융합 연구의 후발주자였던 우리나라가 국내 기술로 개발된 핵융합 장치 KSTAR의 성공을 통해 미래 에너지원 개발을 위한 거대 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pos="C";$title="";$txt="핵융합연구장치 'KSTAR'";$size="440,292,0";$no="2009090910324101920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KSTAR'는 세계 최초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동일한 초전도 재료로 제작된 한국의 핵융합연구장치로, 지난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약 12년에 걸쳐 주장치를 완공했다. 2007년 9월 완공된 'KSTAR'는 2008년 7월 단 한번의 시도로 최초 '플라즈마'를 성공적으로 발생시켜 장치성능을 완벽하게 입증해 보인 바 있다. 당시 사이언스와 영국 BBC 방송 등에서 'KSTAR'를 집중 보도하기도 했다.
핵융합연구소 관계자는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의 중심은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인데, 이같은 상태에서는 수소 같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해 무거운 헬륨 원자핵으로 바뀌는 핵융합반응이 일어난다"며 "이같은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질량 감소가 엄청난 양의 에너지로 방출되는데, 이것이 바로 핵융합에너지"라고 설명했다.
$pos="C";$title="";$txt="KSTAR 플라즈마 장치";$size="440,292,0";$no="2009090910324101920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지구는 핵융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초고온ㆍ고압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KSTAR'와 같은 핵융합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핵융합장치가 '인공태양'이라고 불리는 이유도 이처럼 태양과 같은 원리로 에너지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