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및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 끼칠 수 있어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 위안화 문제가 연일 국제사회의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위안화 절상이 투기세력을 불러들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또 위안화 절상이 오히려 중국뿐 아니라 미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의견이 나와 눈길을 끈다.
17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과 중국인민은행의 최근 발언이 위안화 절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인민은행이 최근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위안화 환율을 달러만이 아닌 주요 통화들과 연동해 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것"이라 밝힌 것.
현재 전문가들 사이에서 위안화 절상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투기세력이 늘어날 것이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의 디렉 핼페니(Derek Halpenny) 전략가는 "점진적인 위안화 절상이 투기자금을 불러 일으켜 국내 유동성을 해칠 수 있다"고 전했다. 오히려 중국이 위안화를 단 한 차례 올리는 것으로 끝낸다면 투기세력을 잠재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지금 시점에서의 위안화 절상이 중국의 경제뿐만 아니라 미국의 경제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이 8%의 경제성장률을 보일 수 있었던 것이 소비증가나 수출호조에 힘입은 것이 아니라 정부의 인위적인 경기부양책 때문인 만큼 경제가 취약한 상황에서의 위안화 절상은 섣부른 정책이 될 수 있다는 것.
또 세계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이 위안화 절상을 하게 되면 미국 채권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분석이다. 위안화 절상으로 부담을 느낀 중국이 채권 매입을 중단하면 채권수익률이 그만큼 올라가 미국 경제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2005년 7월~2008년 6월까지 위안화 가치는 달러대비 20% 가량 급등했다. 그러나 작년 8월 이후 중국은 자국 내 수출업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사실상의 고정환율제를 고수해오고 있다. 이에 IMF와 주요 교역국들 사이에서 위안화 절상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돼오고 있던 상황.
전날 IMF의 도미티크 스트로스 칸 총재는 "중국이 국내수요를 늘리고 수출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환율제를 개혁할 필요가 있다"며 "위안화 등 주요 아시아의 통화가치 절상이 가계 구매력과 임금 등을 높여주게 될 것"이라 전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