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소비시장 공략 위해 新소비층 잡아야" <삼성硏>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부상하는 소비대국 중국을 잡기 위해서는 귀국 유학생과 같은 신(新)소비층을 공략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SERI ·세리)의 이동훈 수석연구원은 29일 ‘새롭게 주목해야 할 중국 소비시장’이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내년 엑스포와 광저우 아시아게임을 기점으로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두 부류의 신소비층을 제시했다.

이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신소비층은 해외에서 대학을 마치고 귀국한 유학생들(해귀파·海歸派)이다. 이들은 금융위기로 해외에서 일자리를 얻지 못하자 귀국해 중국 사회의 신엘리트 계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얼리 어댑터 면모를 보이는 이들이 향후 중국에서 서구식 라이프 스타일 소비를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해귀파들은 해외 경력을 과시하기 위해 테이크 아웃, 자연친화형 고급주택 등을 찾고 있고 이것이 곧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들은 이미 중국 내에서 '걸어다니는 광고매체'라는 평도 받고 있다.

해귀파에 이어 중국 시장을 이끌고 있는 두 번째 신소비층은 ‘2기 소황제’들이다. 1970년대 말부터 시행된 ‘1자녀 갖기’ 정책으로 생겨난 소황제 계층은 다시 1980년에 태어난 1기 소황제(80后 ·바링허우)와 1990년대 이후 출생한 2기 소황제(90后 ·주링허우)로 분화된다.


이 연구원은 바링허우 세대는 이미 30대로 성장해 결혼, 출산, 양육 시장을 이끌고 있다며 새로운 트렌드세터로 주목해야 할 것은 주링허우 세대라고 지적했다.


20대인 주링허우 세대는 풍요로운 유아기를 보내 외국브랜드 및 고가품에 익숙하다. 또한 브랜드 및 첨단 유행을 중시해 패션, 엔터테인먼트. 정보기술(IT) 시장에서 막강한 구매력을 과시하고 있다. 물론 부모의 소비에 의존하는 것이 약점이긴 하지만 중국인들은 이들을 '샤오바오바오(小寶寶, 귀염둥이의 애칭)' 라 부르며 비싼 물건을 사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 연구원은 스웨덴 의류업체 H&M사를 이들 세대를 공략하고 있는 대표적 업체로 꼽았다. H&M사는 상하이, 난징, 창저우, 선전 등에 공격적으로 매장을 오픈하고 서구 브랜드 선호하는 20대 여성 주링허우를 위해 중국에서 구매할 수 없는 의류와 액세서리를 주요 상품으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신소비층이 기존시장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 이 연구원은 이들 신소비층을 기존의 소비층과 별도로 공략할 필요성이 있다며 이를 위해선 기업들이 이들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수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고 경영층은 현지를 직접 체험해 의사결정을 내릴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보경 기자 pobo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