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분기 실질GNI 증가율 21년만 최고, GDP도 큰 폭 상승(종합)

실질 국민총소득(GNI)의 전기대비 증가율이 21년만에 최대치에 달하고 실질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역시 7년만에 최대치에 달하는 등 국민소득 지표가 기대 이상의 큰 폭의 개선세를 나타내며 경기회복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다만, 한은은 상반기 정부의 재정집행효과와 반도체에 치중된 수출 등을 고려할 때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1.6%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09년 2ㆍ4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실질GNI는 전분기에 비해 5.6% 증가했다. 이는 1988년 1ㆍ4분기의 6.2% 이 후 최대치다. 교역조건개선으로 인해 실질 무역손실이 크게 축소된 데다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도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질GNI가 플러스를 기록하기는 작년 2ㆍ4분기 이 후 처음이다.


2ㆍ4분기 실질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2.6% 성장했다.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에 비해 0.3%포인트 상향수정된 것이며 전기대비 성장률로는 2002년 1ㆍ4분기의 3.8% 이후 최고치다.

한은은 속보치 발표 이 후 입수한 6월분 산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및 금융기관 등의 분기 결산자료를 추가로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단, 전년동기대비로는 -2.2% 역성장했다.


그러나 실질 GDP가 전기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룬 것은 제조업에서 전기전자, 운수장비 등 대부분 업종의 생산호조로 전기대비 8.9%의 큰 폭 증가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건설업은 토목건설이 전분기의 높은 수준에 대한 상대적 영향으로 줄어들어 전기대비 0.2%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 증가세가 확대되고 운수보관업, 사업서비스업 등도 증가로 돌아서 전기대비 1.1% 확대됐다.


지출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 내구재 소비지출이 크게 늘어난 데다 서비스 소비지출 증가세도 확대돼 전기대비 3.6% 증가했다.


작년 4ㆍ4분기 이 후 마이너스권을 맴돌던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수장비 모두 전분기 큰 폭 감소에 대한 기저효과로 전기대비 10.1% 증가했다.


이에 따라 내수는 민간소비지출과 설비투자 증가에 힘입어 전기대비 3.4% 증가했다.


재화수출은 전기전자기기 등의 호조로 전기대비 14.7% 증가하며 전분기-3.4%에서 큰 폭의 플러스로 돌아섰고 재화수입도 전분기 -6.2%에서 2ㆍ4분기에는 7.4% 증가로 돌아섰다.


정영택 한은 국민소득팀장은 "2ㆍ4분기 GDP성장률이 높게 나왔고 수출이 경쟁국가에 비해 양호하지만 본격 경기회복을 논할 정도는 아니다"며 "하반기에도 이같은 추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수출의 절대량이 전년동기보다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2ㆍ4분기 반도체 등 정보통신부문 수출 비중은 44.4%에 달했고 성장기여도 역시 7.3%포인트를 나타내는 등 수출이 쏠림현상을 빚고 잇다. 따라서 정 팀장은 "하반기 정부재정집행효과의 축소, 내수 부진 등을 고려할 때 7월 전망 연간성장률을 수정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2ㆍ4분기 총저축률은 명목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민간 및 정부의 명목 최종소비지출보다 더 늘어나 전분기 29.3%에서 29.4%로 소폭 상승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