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英 세제개편, 기업들 '탈영(脫英)' 움직임

영국의 기업가운데 20%는 지금과 같은 세금제도라면 영국에서 기업 활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설문결과가 나왔다. 또 90%의 기업인들이 인재유출이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영국 주요 언론은 영국기업들이 세금과 규제에 대한 정부의 압박으로 인해 기업 활동이 쉽지 않다고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맥킨타이어 허드슨의 세무담당자 니겔 메이는 “기업들이 던지는 목소리는 명백하다”며 “기업에 세금과 규제 제도로 인한 부담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재정이 건강한 기업들도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세금이 경기회복의 목을 죄고 있는 모습이다. 메이는 “영국 정부는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고, 지나치게 낙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세무당국이 미래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영역에 세금을 부과하며 경제 회복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경영자들은 경제가 여전히 취약한 상황에서 추가로 세금이 오르는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허드슨의 관계자는 “세금 제도를 바꾸는 것이 공공지출을 줄이는 것보다 더 위험하다”고 꼬집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대상인 기업가들의 약 72%는 ‘영국 세금제도가 다른 경제국들에 비해 경쟁력이 없다’고 응답했다. 또 89퍼센트는 ‘정부의 정책이 기업의 해외이전을 부추긴다’고 답했다. 12%는 ‘지금이 이동할 수 있는 기회’라고 응답하며 세제에 대한 극심한 불만을 드러냈다.


영국 정부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영국의 7월 재정적자는 80억 파운드(약 16조1500억원)로 통계치를 발표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국 재무부는 4월 시작된 올 회계연도에 모두 1750억 파운드(약 353조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 침체로 세입은 줄었지만 실업급여 등 복지비용의 증가로 세출이 크게 늘면서 생겨난 결과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영국이 주요20개국(G20) 가운데 가장 높은 재정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국 정부는 기업들은 세제 불만에 따른 이탈 움직임과 적자 보전을 위한 세수확보라는 진퇴양난에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윤재 기자 gal-r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