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 IT서비스업체, 선진기업 5~6년 뒤떨어져

국내 IT 기업들의 제조업 경쟁력은 뛰어나지만 IT컨설팅ㆍ솔루션 등 IT서비스 산업은 선진 기업의 7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4일 'IT서비스 산업 발전 전략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국내 IT서비스 업체의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선진 기업보다 5~6년가량 뒤떨어진다고 평가했다.


전경련이 삼성SDS, LG CNS 등 국내 IT서비스 주요 기업 37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해외 선진 기업과 비교해 국개 IT서비스 기업의 역량이 70점대라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46.7%에 달했다. 60점대 이하라는 기업은 13.3%였다.

응답 기업들은 국내 IT서비스 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저가 위주 입찰 관행과 내수 지향적 사업 구조(47.1%)를 지적했다. 고급 인력 부족(11.8%) 그린IT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등 신사업 분야에 대한 투자 부족(11.7%)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 외국어 능력 부족, 근무 여건 등도 IT서비스 업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보고서는 성장 가능성이 많은 IT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일반 계약에 영향력이 큰 공공기관 발주의 사업자 선정 및 가격 책정의 경우, 기술 평가에 대한 비중을 현재보다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투입 인력을 기준으로 가격을 산정하는 기존의 헤드 카운팅 방식을 배제하고 기술별로 점수를 매기는 기능점수 방식을 확대해 기술 난이도에 기초한 가격 책정 방식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올해 국가계약법 시행 규칙 개정으로 소프트웨어 분리발주가 의무화됨에 따라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소프트웨어 분리발주란 기존에는 시스템 통합업체(SI)가 시스템ㆍ소프트웨어(SW)의 설계ㆍ개발ㆍ납품ㆍ통합 사업을 일괄적으로 발주 받았으나 SW와 SI 업체 간 거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발주자가 SW를 별도로 발주ㆍ구매하고 SI 업체는 최종 통합 사업만을 담당하는 것을 뜻한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